건전지 크기 구분((사이즈 표기 기준) *제작방법에 따른 분류 기준은 따로 있다고 함. 건전지 겉에 보면 LR6(=AA), LR03(=AAA)로 표기되어 있다. 나라마다 표기 기준이 다른 것 같다. 대한민국은 국제기준을 따름. 분류기준과 관련해서는 크기에 따른 구분 말고도 재료나 제조방법에 따른 분류 기준도 있을 듯 하다. 건전지를 알카라인 건전지, 망간건전지,니켈카드뮴건전지, 무수은 무카드뮴 건전지, 니켈수소 건전지, 리튬이온건전지 등으로 부르는 것을 볼 때 다양한 분류 기준이 있을 듯 하다. 베스트셀러(유명한) 브랜드별 식별도 가능하겠지만 워낙 많은 상표가 난무하기에 브랜드의 명성을 조사하는 것은 의미가 없을 듯하다. 질레트(면도기),콜라,사이다(탄산음료)처럼 때로 특정상표가 제품을 부르는 호칭이 되기는 하지만 말이다. 화학공부를 잘했다면 이런 구분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 같다. (화학) 원소나 원자의 성질을 잘 이해하고 있다면 말이다. 예를 들면 니켈수소를 나타내는 원자기호NiMH로 표기하고 그 종류를 니켈수소건전지라 부르기 때문이다. 또 물리상식도 많은 도움이 될 것 같다. 전압이나 전류, 저항, 전력소모량 같은 물리적 기초지식이 배터리나 메모리의 이해를 돕는다.
*AAA 전지
단위(수치) 표시: 도량형 거리 무게 시간 cgs단위는 Centimeter, Gram, Second (센티미터, 그램, 초)-전기에서 전류의 cgs단위는 mA?
전자기기에 표기된 전기단위 (W,V.A)의 의미 전기: 전력, 전류, 전압로 표시 전류: 전기 전(電), 흐를 류(流)자를 쓴다. 흐르는 전기의 양을 나타내고 단위는 암페어(A:Ampere)를 쓴다. 프랑스의 물리학자 A.M. Ampe˘re(1775-1836)의 이름에서 유래 전압: 전기 전(電), 압력 압(壓)자를 쓴다. 전기를 흐르게 하는 압력의 세기를 나타내고 단위는 볼트(V:volt)를 쓴다. 이탈리아의 물리학자 Alessandro Volta(1745-1827)의 이름에서 유래. 전력: 여름철 전기 사용량이 많을 때 전력 비축량 또는 전력 생산량에 관심이 집중된다. 갈수록 전력소모가 큰 자가용,에어콘 등의 사용률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 전력이란 말은 이럴 때 사용된다. 전기 전(電)에 힘 력(力)자를 써서 전기의 힘을 나타내고 단위는 와트(W)를 쓴다. P로 표기하기도 한다. 기기가 작동하게 하는 힘. 한국전력공사 저항:매질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관의 굵기와 비슷. 관의 굵기가 가늘수록 전압이 커지듯 매질의 저항이 약할수록 전류량은 증가한다? 같은 굵기의 관에 더 많은 물을 보내면 더 빠른 시간에 더 많은 물을 보낸다? p=q 명제: 전류인 물의 양이 많지만 전압인 가속도가 낮다면 물레방아가 돌아가는 힘은 강할수 없다.
건전지 디카 배터리 디카 메모리 휴대폰 메모리 전구, 형광등
전구 구입처
|
|
'pudal > 환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도선사 풍경 (0) | 2010.04.20 |
---|---|
[스크랩] 도선사 가는 길 - 이른 봄 풍경 (0) | 2010.04.20 |
신발 (0) | 2009.05.16 |
아고라청원 서명요망 - 정신지체 장애인 구속 (0) | 2009.05.05 |
쓰잘데기 없는 단상들 (0) | 2008.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