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지마라
놀아나지 마라
갈라지지 마라
속임이란 이익을 목적으로 하는 행위다. 속는 사람이 많아야 (사기꾼의) 이익이 늘어난다.
속임보다 나쁜 유일한 한가지는 속는 것이다. 누군가의 눈 속임에 복무하는 것은 속임 다음으로 나쁜 것이다. 속임에 복무하지 마라.
속이는 농락보다 나쁜 한가지도 농락 당하는 것이다. 농락만큼 큰 죄악이 농락에 복무하는 것이다. 속임에 놀아나지 마라.
놀아난 다는 것은 갈라지는 것이다.
박연차에 속지말고 진보 보수에 속지 말고 좌 우에 속지 마라.
관심을 가지는 순간, 발을 들여놓는 순간 흑백만 존재하는 헤어나올 수 없는 함정이다.
농락사회에서 살아남는 법
이해가 되지 않는 말, 어휘, 어려운 말, 지적허영을 부추기는 선전선동(프로파간다)에 휘말리지 마라.
어디까지나 주체적으로 생각하라. 의미가 전달되지 않는 말, 들어서 바로 알기 어려운 말. 사전을 찾아봐도 모르겠는 말은 오염된 말이다. 오염된 말을 쓰는 순간 나머지 멀쩡한 정신도 감염된다. 감염되는 순간 그 자신이 농락에 부역하는 인큐베이터, 숙주바이러스가 되는 것이다.
오염된 땅에 풀이 나지 않고 독버섯만 돗 듯 오염된 말을
쓰는 순간부터 (오염된 말은) 적의 출현을 알리는 요란한 경보음이 레이다망에 켜지는 것처럼 인생에,사고체계에 혼란과 모호란 자각하지 못하는 적신호가 켜지게 한다.
속인 다는 것은 거짓을 퍼트리는 것이다. 진실이 아니다. 속는 것은 거짓과 진실이 아닌 것의 목적을 채워주는 것이다. 속을 수록 속이는 사람의 목적은 200% 달성된다. 조작의 세계에서는 구매하는 사람, 마음을 빼앗긴 사람이 많아야 배당률이 올라간다. 도박과 경마 투기의 세계처럼. 승부가 정해져 있는 속임의 세계에 발을 들여놓지 않는 것 오염된 말에 기만당하지 않는 것이 빼앗기지 않은 유일한 방법임을 새기고 또 새겨야 한다. 개미들이 몰려들수록 작전세력의 시세차익만 커지는 주식투자와 비슷하다. 개미들에게 남은 것은 고평가된 곧 평가절하될 부실채권 뭉치밖에 더 있던가? 매체의 경제정보 어딜봐도 진정으로 개미를 살찌우는 투자정보는 없다.
매체에 의해 유포된 거짓에 기만당하지 않을 소통권이 보장되어 있지 않은 나라에 정보의 조작은 일상이고 개미의 좌절,굴욕이 일상화된 환경에선 거짓과 진실이 아닌 것만 판을 친다. 사실과 진실은 실종된다.
사실과 진실이 실종된 사회에서 살아남으려면 속지말고 놀아나지 말아야 한다. 그래야 갈라지지 않을 수 있다. 같은 피, 같은 마음, 같은 연못에 사는 사람끼리
거짓에 속아 증오하고 피흘리는 일은 없어야 한다. 그러자면 의심스러운 말, 어려운 말은 한번 생각해보고 써야 하고 그래도 이해가 되지 않는 말은 쓰지 말아야 한다. 그 말이 거짓의 숙주이고 그 말에 편취의 목적에 감염되는 바이러스가 숨어 있기 때문이다.
무리사회에 목소리의 대변자, 매체, 능통한 사람의 출현은 필연적이다. 모두 오케스트라의 지휘자처럼 제 부문의 목소리를 조율하는 일을 담당하게 된다. 무리사회의 규모가 커지면 얼키고 설켜있는 거대한 거미줄 같은 네트워크가 형성된다. 그 네트워크의 하나가 감염되면 순식간에 전체로 퍼진다.
그래서 보안관, 매트릭스가 필요하다. 스스로의 생명을 지키려는 '면역체계'란 두터운 보호막이 일상의 보안관 노릇을 하지만 급격한 외인(외부환경요인, 변이)에 대비한 인위적 방어체계 시스템이 필요하다.
무리사회의 방어체계 시스템은 감호소의 망루처럼 매체,대변자, 리더에게 맡겨져 있다. 이들의 할 일은 감시다. 감시의 눈을 속이는 속임이 창궐할 때 사회는 갈라지고 분열되고 전쟁터로 변한다. 소통이 가로 막힌 것이다. 단절된 것이다. 소릿길에 방음벽이 쳐지는 것이다.
생노병사를 다스리는 신약을 개발하는 일, 지혜를 축척하는 일, 마음을 다스리는 음악을 만드는 일, 교육을 하는 일, 네트워크를 개발하는 일이 모두 창작과 관련이 있다. 창작(표현)의 의도는 무리사회의 지속, 유지이다. 원초적 본능이기도 하다.
본능을 막고 생명을 유지할 수는 없는 일이다.
무리사회의 본능, 생존을 막을 수는 없는 일이다.
선의와 본능에서 시작된 창작의 진흥을 이익에 눈먼 자들이 독점하려는 시도가 네트워크(소릿길) 장악이다. 인류와 생명이 스스로 진화하며 지켜온
창작이란 보호막을 감염시키고 파괴하는 일 만큼 어리석은 일이 없지만 인간의 지나친 욕심;탐욕이발생 성장 생성이란 매트릭스(Maitrix: 모체, 기반, 자궁)를 파괴한다. 선의와 본능에 기반하여 생성하고 성장하는 인류의 지적재산권은 무리사회가 스스로 보호해주는 면역시스템이다. 훌륭한 과학자, 예술가, 발명가의 권리를 보호하는 것은 인류의 본능인 것이다. 속임에서 나온 적절한 댓가이상을 추구하는 지나친 부가가치를 추구하는 파생금융상품같은 탐욕의 먹잇감이 지적재산권으로 옮아가고 있다. 금융, 부동산 투기거품보다 더 큰 부가가치를 조장할 수 있는 먹잇감을 앞세워 인류를 농락하려 하고 있다. 소수의 탐욕이 저지르는 죄악이다.
인류의 욕심, 욕구, 욕망이란 방비체계의 허술함을 악용하는 것이다. 이웃을 사랑하고,
생명을 유지하려는 표현의 욕구를 장삿속에 이용하려는 시도를 인류스스로 막아야 한다.
저작권, 상표권, 특허같은 지적재산권의 보호는 원래 그 목적이 선의에서 지혜에서 출발하는 것이기에 누가 빼앗으려 해도 스스로 그 권리를 지켜주고 창작과 연구를 장려하고 권장하는 것이지 그 스스로 인류의 생존과 무관한 배타적 독점권을 보장하려는 것이 아니다. 소수의 탐욕세력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삼성, SK, LG, KT, 정부관료, 해외 투기펀드, 김&장같은 승냥이 투기펀드 법률대변자 등의 농락물 투기대상 점유물이 아니다. 인류의 삶이 위기에 처해있다. 한줌도 안 되는 투기세력의 투기바람에 생명을 위협받고 있다. 체제의 위협을 받고 있다.
신약개발자는 인간의 고통을 치유하기 위해 신약을 개발한 것이지 인류의 농락, 사기꾼의 속임을 위해 복무하지 않았다. 배타적 지적재산권 독점 행위를 당장 중단하라. 생명이 위협받고 있다.
과학기술을 개발하고 교육하고 창작을 지원하는 인류의 선의를 모독하지 마라.
개인적의 욕망 욕구 성취동기, 댓가는 사회가 우리가 보장해준다. 공정한 기회, 룰을 바탕으로 (경제적인) 시장(욕망)을 실현하는 사회에 사는 것을 우리는 인정하고 있다. 인간은 인간을 경제적 동물로만 볼만큼 어리석지 않다. 생활을 지배하는 것이 경제일 뿐, 삶 전체로 보지 않기 때문이다. 언어, 정서와 사랑, 정, 미래, 장기계획, 정신, 얼, 정치, 문화, 과학 등 경제를 제외하고도 인류의 삶을 규정하는 것은 지천이다. 탐욕세력은 삶을 너무 가볍게 보고 있다.
*matrix메이'츄릭스 : A situation or surrounding substance within which something else originates, develops, or is contained (발생성장생성의) 모체, (사람포유동물등의)자궁
"freedom of expression is the matrix, the indispensable condition, of nearly every form of freedom"(Benjamin N. Cardozo).
*incubator인'큐베이러: An apparatus in which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temperature and humidity, can be controlled, often used for growing bacterial cultures, hatching eggs artificially, or providing suitable conditions for a chemical or biological reaction.
부화기,배양기, 보육기,
propaganda퐈퍼갠'더: The systematic propagation of a doctrine or cause or of information reflecting the views and interests of those people advocating such a doctrine or cause.
조직적 선전, 유언비어, 허위보도
Excerpted from The American Heritage(r) Dictionary (c)
*network네'트웤: An openwork fabric or structure in which cords, threads, or wires cross at regular intervals.
net+work 배구,배드민턴장의 네트처럼 실이나 끈, 철사로 (십자로) 엇갈려 짠 직물,세공품(촘촘하게 짜여진 물품)
네트웤이란 cord끈을 교차하여 만든 그물처럼 짜여진, 그물과 그물코로 구성된다. 관계를 맺고 매듭이 생기고 매듭사이에 공간이 생긴다. 고로 그물net과 그물코mesh,knot를 합쳐 그물망이라 한다. 짜는 만큼 지부,지점처럼 체계적인 각각의 매듭Knot이 형성된다. 직물의 구성에 빗대 기관과 조직, 시스템을 망상조직 network이라 한다. 혈관,간선,도로,길 등이 교차하여(엮여) 체계를 이룰 때 전체를 이를 때 쓴다. 직물처럼 촘촘하게 엮어진 것.
그물코mesh:(짜고 엮으면 공간구멍틈함정이만들어진다,매듭knot과 공간space을 합친말)
'pudal > 언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의 소원은 조선일보를 (0) | 2009.05.04 |
---|---|
노동절날 풍경-통행의 자유를 막는 정부, 학생을 가둔 시청역 (0) | 2009.05.02 |
대위(大威) (0) | 2009.03.13 |
천년後哀(후애)-노예해방운동을 막을 수 있다면 (0) | 2009.02.28 |
밥과 물, 공기, 빛 그리고 다리 (0) | 2009.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