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뉴스/미디어

펌]신문 부수조작 해외선 어떻게 -경향 & 기사비평

pudalz 2008. 7. 17. 15:58

신문 부수조작 해외선 어떻게

광고주에 거액 보상… 발행인 징역형도 | 경향신문



한국ABC협회가 2002·2003년 조선일보의 유료 부수를 조작한 사실이 드러나면서 ABC협회와 해당 신문사의 솔직하지 못한 태도와 정부의 미온적 조치를 질타하는 시민·언론단체의 목소리가 높다. 광고주에게 엄청난 금전 보상을 하거나 발행인을 징역형에 처한 외국의 사례와 달리 잘못조차 인정하지 않으려는 태도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문화부 신재민 차관은 지난 11일 협회의 비리·부정을 적발하고도 징계를 하지 않은 데 대해 "협회의 활성화와 공정한 업무 처리를 지적하는 게 더 급하다"며 부수 조작과 무관한 얘기를 앞세웠다. 협회와 조선일보는 일부 매체의 문의에 대해 "조작하려면 그만큼만 했겠느냐, 이의신청해 조정한 것"이라고 답한 채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당시 실사자와 사무국 관계자들은 "이의신청은 협회 이사회의 승인이 필요한데 당시 부수 조작은 이사회의 승인이 없었는데다 부수 실사일과 조작 날짜가 같아 협회와 신문사의 해명은 앞뒤가 맞지않다"고 반박하고 있다.


외국의 경우 신문사의 솔직한 사과와 신속한 보상이 기본이다. 한국언론재단이 발간하는 '신문과 방송' 2004년 10월·11월호에 따르면 미국의 벨로 코퍼레이션의 자회사 '댈러스 모닝뉴스'는 2003년 4월부터 10월까지 일요판은 전체 부수의 5%, 평일판은 1.5% 정도 구독자수를 부풀려 발표했다. 실제 74만6500명의 연간 독자를 78만5876명으로 약 4만명이나 조작했다. 이는 조선일보의 조작 부수(8만부)의 절반 규모다. 이 같은 부정이 드러나자 벨로사는 피해자인 광고주들에게 현금 2300만달러(당시 약 276억원)를 보상했다. 또 조작 실태를 심층 조사하기 위해 300만달러(36억원)를 추가 책정했으며 향후 게재될 광고의 광고주들에게도 400만달러(48억원)를 지불키로 했다. 이 회사의 로버트 데처드 사장은 당시 "잘못에 대한 반성과 회사의 미래를 위한 투자의 뜻으로 보상을 했다"고 말했다.

이 같은 사실은 2004년 9월말 영국의 가디언과 같은해 12월1일자 워싱턴포스트 인터넷판에도 상세히 보도됐다.

2003년 6월에는 트리뷴사 소유인 뉴욕 '뉴스데이'와 스페인어 일간지 '호이'가 지난 12개월 동안 발행부수를 19%나 과장한 사실이 밝혀졌다. 특히 뉴스데이의 조작 부수는 일일 10만부에 달했다. 그 결과 트리뷴사는 광고주들에게 2500만달러(300억원)의 보상금을 지불하고 2건의 소송에 휘말렸다. ABC(발행부수공사기구)도 트리뷴사에 대해 다른 신문보다 2배 이상 무거운 연 2회의 감사를 실시키로 결정했다. 홀린거 인터내셔널의 '시카고 선-타임스'도 실제 부수(43만부)보다 5만2421부를 부풀려 48만2421부로 ABC에 신고한 사실이 드러나 곤욕을 치렀다. 상장사인 이 신문사는 부수 조작을 시인하고 보상금을 지불했지만 주주 등이 제기한 11건의 집단소송에 직면했다. 존 크루크솅크 발행인은 당시 "전 발행인인 데이비드 레들러의 '사주'에 의해 저질러진 일"이라고 고백했다. 이들 신문은 평일 미판매분을 토요일 판매분으로 돌려 일일 판매량을 조작했다. 또 안 팔린 신문을 반송하지 않고 대형 산매상이나 제3자에게 대량으로 싸게 팔거나 판촉용이나 학교 교육(NIE)용으로 나눠준 뒤 이를 유료부수에 올리는 수법을 사용했다.

홍콩에서는 부수조작 책임자에 대해 징역형이 내려졌다. 싱타오신문 유한공사가 발행하는 영자지 '홍콩 스탠더드'('더 스탠더드'의 전신)는 1994년부터 3년간 광고 수입을 늘릴 목적으로 '몬스타'라는 페이퍼 컴퍼니를 만들어 매일 더 찍어낸 1만4000∼2만3000부를 사서 폐기 처분하는 수법으로 판매 부수를 조작해왔다. 1996년 8월 당국이 신문 1만4000여부가 부두에 버려진 것을 발견, 수사에 착수하면서 조작사실이 알려졌다. 결국 홍콩법원은 1999년 1월 해당 신문사 사장, 재무이사, 판매이사 등 임원 3명에 대해 사기 혐의를 인정해 징역 6~4월을 선고했다. 신문은 독자들로부터 따돌림을 당해 제호를 두차례나 바꿔가며 타블로이드판 무료지로 전환했다.

신문발전위원회 장행훈 위원장은 "부수조작 사건과 관련된 집단과 당사자들은 독자와 광고주를 속인 것에 대해 석고대죄하고 신문업계도 동업자 보호의식을 뛰어넘어 재발방지 조치와 처벌 조항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 김정섭기자 lake@kyunghyang.com > 경향신문 | 기사입력 2008.07.15 17:49

 

후기

경향신문 김정섭기자님의 7월 9일자 단독보도 "ABC, 조선일보 부수조작" 에 이은 후속보도이다.

김정섭기자님의 용기와 용단에 박수를 보내고 싶다.

동일한 문제를  떠안고 있을 동종신문업계 종사자로서 동종업계의 치부를 드러내는 것이 쉬운일이 아니었을텐데, 신문시장 전체의 축소에 대한 걱정(밥그릇걱정)에도 언론의 책무와 발전을 위해 보도해 주신것에 대해 평소 언론의 낙후상에 부패상에 치를 떨던 사람으로써 감사한다. 또한 타신문 기자들의 양심없음에 분노한다. 마지막으로 기자들의 한심함을 개탄한다. 자사신문의 경영구조, 수익구조의 진실되지 못함, 부패에 눈을 감은 것인지 관심이 없는 것인지 모르는 것인지 머가 됐든 한심하다. 신문의 발전상에 대한 직업인으로써의 비전이 없는 것을, 고민하지 않았음을 얘기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신문산업이 얼마나 사상누각인지 모래성위에 집을 짓고 있는지 뻥구라산업인지 스스로의 양심에 비추어 고민해보기 바란다.

이기사는 훌륭하지만 김기자님의 신문부수조작 기사의 후속탄으로 아쉬운 점 하나만 지적한다. 9일 부수조작 단독보도 후에 신문유통에 종사하는 현장으로부터 수많은 제보를 받았을 것이다. 그렇다면 자신이 인용보도한 ABC협회 조작수치와 실제 부수간에 10배에 가까운 차이가 있었음을 확인했을 것이다.  일선 유통에 종사하는 (조선일보만 대략 1만명) 본사착취에 악에 받힌 수많은 이들은 김기자의 기사에 희망을  발견함과 동시에 의아함을 가졌을 것이다. 어떻게 평균 2000 가까운 수치가 5만이 되었는가 하고 말이다.

이에 대해 일선 조선일보 지국장들을 현장취재하였다면 아니면 소개받아 취재하였다면 쉽게 수치에 대한 의문을 풀어줄 수 있지 않을까 싶다. 알고도 논란을 피한 것인지(후속보도로 보았을 때 그럴 리는 없겠지만) 어쨌든 아쉬운 점이다.

 

ABC협회에 문의해본 바에 따르면

ABC 협회는 1개 지국의 유가부수 수치라며 2002~3년엔 무가지도 포함시켰다는 궁색한 변명을 늘어놓았고(그렇다고 하여도 5배이상 차이가 난다)

신발위에 계시다는 미디어스 신 기자님은 ABC협회가 통상 1개 지국을 샘플링(ABC 부수공사)할 때 조선일보본사는 인근 지국의 신문까지 샘플링 지국에 발송하여 유가부수를 인증받는다고 한다. 하지만 이 말도 의문을 100% 풀어주지는 못했다.  서울지역 지국만 217곳인데 하나의 지국을 5만이라 인증을 하면 전체 지국은 평균 4만으로 잡아도 868만부가 되기 때문이다. ABC협회의 산출방식과 현업종사자의 취재를 통한 실부수 확인을 통한 구체적 증거와 명확한 내용보도가 이어지길 기대해본다.

작은 것이지만 언론의 발전을 위해 기자로써 반드시 짚고 넘어갈 일이라 생각한다.

또한 다음에 뉴스재전송에 의문을 표하지 않을 수 없다. 9일 보도가 나간후 조선일보 유가부수 조작은 미디어 오늘 정도가 전부였는데 오늘 확인해보니타 매체의  꽤 많은 인용보도가 있었다. 도깨비에 씌인 것인가, 포털에서 기사재전송 속도를 조절한 것인가? 댓글과 기사 모두 가끔 석연치 못한 구석을 느낀다. 특히 조선일보와 중앙, 동아와 관련하여...

 

문제의 인용자료.

 

덧글:

다음의 조중동 관련 비리기사나 언론비판기사의 증발이나 지체보도는
아마도 조중동이 장악하고 있는 문광위, 방송통신위원회, 국회 방송심의위원회의 입김에 의한 것이 아닐까 의심스러웠는데     실제 <미디어 포커스 226회(KBS 토 9:40)> 보도에 의하면 다음의 IPTV 사업권 승인을 쥐고 있는 방통위에 의해 포털이 영향을 받고 있고 있다고 한다 (예: YTN 돌발영상 '마이너리포트'   안티 이명박 댓글, 조중동 관련기사나 게시글 따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