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뉴스/미디어

펌] “이명박 정부 ‘언론 3적’ 꼭 물러나야” -한겨레

pudalz 2008. 7. 12. 12:23
46개 언론·시민단체 연대, 오늘 퇴진촉구 기자회견
“현정부 언론탄압 주역들 인적쇄신 대상에 포함돼야”

언론·시민단체들이 최시중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과 이동관 청와대 대변인, 신재민 문화체육관광부 2차관 등 세 사람을 이명박 정부의 언론장악 시도에 앞장서는 ‘언론 3적’으로 규정하고 퇴진운동에 본격 나섰다.

전국언론노동조합(언론노조), 민주언론시민연합(민언련), 언론개혁시민연대(언론연대) 등 46개 언론·시민단체로 구성된 ‘언론사유화 저지 및 미디어공공성 확대를 위한 사회행동’(미디어행동)은 11일 오후 1시부터 서울 광화문 방통위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최시중 방통위원장 등의 퇴진을 촉구할 계획이다.

이 단체의 김영호 공동대표는 10일 <한겨레>와의 통화에서 “최시중·이동관·신재민씨는 이명박 정부 언론탄압의 주역”이라며 “세 사람 퇴진투쟁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고 밝혔다. 그는 또 “세 사람은 이번에 이명박 정부가 단행하는 인적쇄신 대상에 반드시 포함돼야 한다”며 “그렇지 않을 경우 공공부문노조와의 연대투쟁 등 시민·사회단체의 커다란 저항에 직면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최시중 위원장은 김금수 전 <한국방송> 이사장을 두 차례나 만나 정연주 한국방송 사장의 조기 퇴진 방도를 논의하는 등 현 정권의 방송장악 시도에 핵심적인 구실을 하고 있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동아일보> 정치부장 출신인 이동관 대변인은 기사삭제 외압과 청와대 출입기자들을 상대로 한 잇단 보도자제 요청 등으로 퇴진 대상에 올랐다. 정부 대변인을 겸하고 있는 신재민 차관은 “부정적 여론 확산의 진원지(방송·인터넷 등)에 대한 각 부처의 적극적인 관리”를 주문하는 등 비판언론 옥죄기에 적극 나서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민언련은 10일 최 위원장과 이 대변인의 언론통제 사례를 담은 <시민과 언론> 특별호 2만부를 제작해 서울 시청앞 등 촛불집회 현장에서 배포했다. 이에 앞서 지난 6~8일 ‘72시간 촛불집회’ 때는 세 사람의 얼굴을 판넬로 제작해 이들의 부적절한 행적과 발언 등을 알리는 대국민 홍보전을 펼쳤다.

언론연대는 9일 ‘최시중, 신재민, 이동관은 자진 사퇴하라’는 제목으로 별도의 성명을 내어 “‘언론통제 3인방’은 (언론) 관리와 통제만을 거듭 천명해 온 자격미달의 인사들”이라며 “청와대 비서진과 내각 총사퇴에 앞서 석고대죄하는 심정으로 자진사퇴하라”고 촉구했다. 언론노조도 같은날 성명을 내어 “최시중 방통위원장은 국무회의에 참석해 광우병 파동이 언론 탓이라며 사전 홍보체계를 논의한 인물”이라며 “모교에 격려금을 갖다 준 일을 두고 (교육과학기술부) 장관 교체를 검토할 정도라면 한 나라의 언론정책을 퇴행시킨 최시중 방통위원장의 경질은 두말할 필요도 없다”고 강조했다.

김동훈 기자 cano@hani.co.kr

기사등록 : 2008-06-10 오후 08:39:35 기사수정 : 2008-06-10 오후 08:42:44

 

 

공공 3적 간략 프로필(위키백과+다음인물검색)

 

최시중
출생 1937년 8월 4일
출신지 경상북도 포항
학력 서울대학교 정치학 학사
직위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

주요경력

  • 1985년 6월. 동아일보사 편집국 정치담당 편집위원
  • 1988년 3월. 동아일보사 정치부 부장
  • 1988년 10월. 동아일보사 논설위원실 논설위원
  • 1993년 2월. 동아일보사 편집국 부국장
  • 2007년 한나라당 선거대책위원회 상임고문 및 6인회의 멤버
  •  

    이동관
    출생 1957년 10월 6일
    출신지 서울특별시
    학력 서울대학교 정치학 석사
    직위 대통령실 대변인

    주요경력

  • 2001년 동아일보 정치부 차장
  • 2003년 동아일보 정치부 부장
  • 2005년 동아일보 논설위원실 논설위원
  • 2007년 제17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대변인
  •  

    신재민
    출생 1958년 9월 29일
    출신지 충청남도 서천
    학력 서울대학교 정치학
    직위 문화체육관광부 제2차관
    주요경력
    1981년 MBC 기자
    한국일보 정치부장
    주간조선 편집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