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재민 "부수조작 문제삼은 경향도 신고안해" | |||||||||
문화부 제2차관 브리핑 "유명무실한 ABC협회 활성화 방안 마련중" | |||||||||
| |||||||||
신재민 문화체육관광부 제2차관이 11일 한국부수공사(한국ABC협회)의 2002∼2003년 조선일보 부수조작 의혹과 관련해 "2002년 당시 몇몇 신문사가 신고했는지 알아봐야 한다. 이를 문제삼은 (경향)신문을 포함해 대부분 등록을 안 하고 있다"며 "ABC협회의 중요성을 인정한다면 어떻게 활성화시키고 공정하게 할 수 있는지를 지적하는 게 더 급하다"고 밝혔다. 신재민 "ABC협회 2002년부터 유명무실…문제삼은 경향도 부수신고안해" 신 차관은 이날 오전 브리핑에서 '경향신문에 보도된 ABC협회 부수조작에 대해 문화부가 당시 조사한 결과 조작으로 결론을 내렸느냐'는 KBS 김성모 기자의 질문에 이같이 답하면서 "2002년 (조선일보 부수에 대한 ABC협회의 조작 의혹이) 잘했다는 건 아닌데, 당시에 여기 계신 기자의 소속 신문사를 포함해 대부분의 중앙일간지는 등록하지 않았다"며 "이미 ABC협회(의 역할이) 미미해졌던 측면이 있기도 하다"고 말했다.
신 차관의 발언에 대해 KBS 김성모 기자는 조사결과에 대해 지속적으로 질문을 던졌다. 김 기자는 "조선일보(부수)가 당시 어떻게든 조정 받았고 신뢰성을 잃어서 (다른 신문들이) 가입 안 하는 것 같은데, 어쨌든 당시 조작이라고 판정난 것이냐"고 했다. 이에 신 차관은 "2002년에 조작(해서 신뢰를 잃고 다른 신문이 가입 안)했다는 것은 너무 논리적으로 비약하는 것 같다. 이미 그 당시 2002년에 언론사에 ABC협회가 외면당한 것이다. 당시 가입한 신문은 2개밖에 없었다. 대변인이 알아보고 조작인지 뭔지 여부에 대해 알려주라"고 말한 뒤 자리를 떠났다. KBS 기자 "조선 부수공사 문제로 신뢰성 잃어 가입안한 것 아니냐" 이에 유병한 문화부 대변인은 "이 문제는 지난 2002년에서 2003년 사이 민원인이 제기한 사항으로 팩트는 두가지다. 문화부가 조사하고 공표를 왜 안 했느냐, 그것이 은폐아니냐와, 문제를 확인하고도 왜 거기에 필요한 조치를 안 했느냐는 것"이라고 설명을 시작했다. 유 대변인은 "첫째는 모든 민원에 대해 필요한 부분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민원인에게 통보하는 게 일반적인데, 민원 발생할 때마다 공표하는 것은 상식에 맞지 않다"며 "이미 지난해 10월 감사관 측에서 열흘간 감사를 진행해 회계부정이 밝혀져서 해당 관계자 징계를 취한 바 있다. 당시 징계를 받았던 분이 (올해 초) 민원을 제기한 것으로 안다. 민원 접수 뒤 감사관실에서 미디어국으로 실무를 이첩해 검토했고, 관련사실에 대해 일부 확인했다. 징계의 경우 시한 2∼3년인데 당시 발생한 사건이 2002∼2003년으로 이미 지났다. 그래서 특별한 조치를 하지 않았던 사안"이라고 했다. 유 대변인은 현재 조사여부에 대해 "사실관계를 명확히 조사하기가 어렵다. 당시 업무를 담당했던 ABC협회의 직원은 이미 퇴직한 상태"라며 "협회에서도 (진상조사를 위해) 내부 검토작업을 하는 것으로 안다. 하지만 문화부가 사단법인 민간단체에 대해 강력한 조치 취할 수 있는 장치는 없는 상태"라고 했다. 유 대변인은 신 차관이 말한 ABC협회 유명무실론에 덧붙여 "좀더 건설적으로 2003년 상황(에 그칠 것이) 아니라 ABC협회 한계가 온 것으로 판단하고, 개선방안 자체를 내부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ABC협회 활성화 대안 마련 중" 이에 대해 김성모 기자는 "조작 여부와 관련해 '일부 사실로 확인됐다'고 했는데, 민원인에 제공한 답변서엔 '모두 사실로 확인됐다'고 돼있다. 표현만 잘못됐다는 뜻이냐"고 재차 묻자 유 대변인은 제대로 답하지 못했다. 자료는 남아있느냐는 질문에도 "모르겠다. 담당자들은 퇴직하고 없는 것으로 안다"고 했다. 김 기자는 다시 "퇴직사우 명단에 보면 전화번호에 연락처가 다 나와있는데 담당자와 연락이 안 된다는 것은 아니지 않느냐"고 물었다. 유 대변인은 "감사관실 조사 때 어떻게 접촉했는지 알려드릴 수 있는 부분을 추가적으로 알아보겠다"고 답했다. 신 차관은 민영미디어렙의 주무부처가 어디냐는 질문에 "어디가 하든 하면 된다. 하느냐 안 하느냐가 중요하다. 제도에 바뀌는 데 따라 전부 방통위로 (업무가) 넘어간다고 해도 문화부 담당공무원 몇 사람만 넘어가면 된다. 물론 부처 협의를 통해서 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민영미디어렙 도입 반대 매체 등 이해당사자와 접촉할 것" 신 차관은 이어진 '민영미디어렙 도입에 반대하는 매체도 많은데 접촉할 의사가 있느냐'는 질문에 "찬성하는 곳도 있다. 당연히 들어봐야 한다. 이해당사자의 목소리는 당연히 들어보는 것 아니냐. 연구학자나 시민단체, 전문가와 시민들 목소리도 들어봐야 한다. 아직 구체적으로 어느 쪽에서 할지를 생각 중"이라고 했다. 한편, '트래킹에 관심 많다고 아는데, 최근 신 차관과 엄홍길 대장의 사이가 좋아서 신 차관이 트래킹 문화 창달 위해 엄 대장을 지지해주겠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는데 사실이냐'며 인터넷대한뉴스 기자가 묻자 신 차관은 "그건 사실이 아니다"라며 "엄 대장은 나와 코드도 다르다. 엄 대장은 고(高)산악에 가까운 분이고, 난 낮은 곳 트래킹한다. 그냥 2∼3년된, 오래된 친구일 뿐"이라고 일축했다. | |||||||||
최초입력 : 2008-07-11 13:31:20 |
사족
조선일보 임원출신 차관이 조선일보 비리를 두둔논평한다는 것이 | |||||
아이러니 하군요 흥미진진하군 |
'미디어뉴스 > 미디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펌]18대 국회 개원, 상임위 전쟁 - 피디저널 (0) | 2008.07.12 |
---|---|
펌] “이명박 정부 ‘언론 3적’ 꼭 물러나야” -한겨레 (0) | 2008.07.12 |
[스크랩] <“신문시장 정상화가 ‘소통’ 열쇠”> (0) | 2008.07.10 |
[스크랩] <[이사람] ‘빚잔치 신문경품’ 진실 앞에 울다> (0) | 2008.07.09 |
[스크랩] <[단독] ABC(신문 발행부수 公査기구), 조선일보 부수 조작> (0) | 2008.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