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모니터/facebook

2013년 11월 2일 오전 01:14

pudalz 2013. 11. 2. 03:08

등산복 빨 때 중성세제를 쓰라는 데 중성세제가 뭐지?


비누와 세제
빨래(세탁), 세척 그리고 수질

보통 물보다 비눗물이 때가 잘 빠지는 것은 비눗물의 표면 장력이 작아서 거품이 잘 나고 천에도 잘 스며들기 때문이다.
표면 장력 ㅣ: 액체의 표면이 가능한 한 작은 면적을 차지하기 위하여 스스로 수축하려고 작용하는 힘

합성세제에는 계면활성제라는 것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는 표면장력이 작아 물 표면에 잘 몰리는 성질이 있다. 물에 녹아 있는 산소를 혈관면에 접촉하여 호흡하는 어류와 같은 경우 계면활성제가 이를 방해한다. 어류는 물과의 접촉 면적을 잃게 되어 점점 호흡이 힘들어지게 되는 것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어떤 세제가 금붕어에게 가장 안전할까? (한 권으로 끝내는 초등과학 자유탐구 (3~6학년), 2011.2.18, 아울북)

물방울이 동글동글하게 뭉쳐지는 것을 표면장력이라고 해. 표면의 종류에 따라 물방울이 동그랗게 뭉쳐 있는 모양에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







중성 세제
[ neutral detergent ]
세제는 액성에 따라 알칼리성, 약알칼리성, 중성(pH 6.0~8.0), 약산성, 산성의 다섯 가지로 분류되고 이 중에서 중성을 나타내는 세제를 중성 세제라고 부르고 있다. 일반적으로는 비교적 제거하기 쉬운 오염물이 부착된 피세물이나, 손상 혹은 자극을 받기 쉬운 피세물을 세정하도록 설계된 경질 세제(light duty detergent)가 중성인 것이 많기 때문에 경질 세제와 동의어적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예컨대, 인체에 대하여 안전하고 자극이나 식품의 외관이나 냄새와 맛을 변화시키지 않고 세정할 수 있도록 설계된 부엌용 세제나, 양모나 비단 등과 같이 알칼리성 조건하에서의 물리적 작용에 약한 섬유 제품 등을 세정하는 것과 의료용 세제 등이 있다. 기타 모발용, 신체용, 주거용 세제 등도 있지만 최근에는 피세물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이들 용도의 세제라도 약산성이나 약알칼리성의 것도 있어 다양한 제품이 나오고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중성 세제 [neutral detergent] (식품과학기술대사전, 2008.4.10, 광일문화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