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렙, 1공영 다민영 법제화될 듯…SBS 기회"-하이
하이투자증권은 3일 미디어렙법이 1공영 다민영 구조로 법제화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을 내놨다. 이에 따라 SBS는 정책적 불확실성이 소멸되고, 제일기획의 시장 지배력은 상승하는 기회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 증권사 민영상 연구원은 "향후 방송광고 판매시장의 변화를 주도할 것으로 예상되는 미디어렙 법안이 여야 합의로 지난달 31일 국회 문방위 법안소위를 통과했다"며 "이 합의 법안은 1월 중 국회 본회의에서 의결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고 판단했다.
여야가 합의한 미디어렙 법안의 주요 핵심 내용은 1공영 다민영 구조, 종편채널 미디어렙 편입 유예(승인일로부터 3년), 미디어렙에 대한 방송사 소유 지분한도 40% 허용 등이다.
이대로라면 SBS그룹은 본사인 SBS가 자체 미디어렙을 소유할 수 있고, 이를 통한 방송광고 판매가 가능해 광고판매 효울성이 크게 높아질 것이란 예상이다.
민 연구원은 "민영 미디어렙 도입시 SBS는 방송광고 사업의 수익성 개선이 기대되고, SBS미디어홀딩스는 장기적 관점에서 계열 방송사들이 광고수익 증가와 펀더멘털(기초체력) 개선에 따른 지분가치 상승 수혜를 기대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 이에 따른 목표주가는 각각 6만원, 6300원을 제시했다.
그는 "국내 선도 광고대행사인 제일기획의 경우 장기적으로 국내 방송광고대행 시장에서의 지배력과 점유율 상승이 기대된다"며 "대형광고사의 중소형 광고사 물량 흡수로 중기적으로 제일기획의 시장점유율은 현재 16~17% 수준에서 20%까지 높아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제일기획 목표주가로는 2만4000원을 제시했다.
한경닷컴 김효진 기자 jinhk@hankyung.com"IT주·미디어 관련주 관심 가져라"
한국경제TV2012.01.05 10:23 인터넷뉴스팀기자 입력
이 증권사 민영상 연구원은 "향후 방송광고 판매시장의 변화를 주도할 것으로 예상되는 미디어렙 법안이 여야 합의로 지난달 31일 국회 문방위 법안소위를 통과했다"며 "이 합의 법안은 1월 중 국회 본회의에서 의결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고 판단했다.
여야가 합의한 미디어렙 법안의 주요 핵심 내용은 1공영 다민영 구조, 종편채널 미디어렙 편입 유예(승인일로부터 3년), 미디어렙에 대한 방송사 소유 지분한도 40% 허용 등이다.
이대로라면 SBS그룹은 본사인 SBS가 자체 미디어렙을 소유할 수 있고, 이를 통한 방송광고 판매가 가능해 광고판매 효울성이 크게 높아질 것이란 예상이다.
![](http://news.hankyung.com/nas_photo/201201/2012010345346_2012010322521.jpg)
민 연구원은 "민영 미디어렙 도입시 SBS는 방송광고 사업의 수익성 개선이 기대되고, SBS미디어홀딩스는 장기적 관점에서 계열 방송사들이 광고수익 증가와 펀더멘털(기초체력) 개선에 따른 지분가치 상승 수혜를 기대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 이에 따른 목표주가는 각각 6만원, 6300원을 제시했다.
그는 "국내 선도 광고대행사인 제일기획의 경우 장기적으로 국내 방송광고대행 시장에서의 지배력과 점유율 상승이 기대된다"며 "대형광고사의 중소형 광고사 물량 흡수로 중기적으로 제일기획의 시장점유율은 현재 16~17% 수준에서 20%까지 높아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제일기획 목표주가로는 2만4000원을 제시했다.
한경닷컴 김효진 기자 jinhk@hankyung.com
최근 미디어랩에 대한 민영화 움직임이 지속되면서 광고단가의 상승기조가 부추겨질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래서 앞으로도 방송이라든지 광고 관련된 성장성에 대한 부분 눈에 띠게 봐야 될 필요성 있어 보인다.
광고 시장은 연평균 5~6% 그렇게 급성장하는 시장은 아니지만 광고 단가 자체가 올라가기 때문에 그런 수혜주들을 찾아보겠다.
첫 번째 봐야 될 종목은 제일기획이다. 삼성 계열사의 광고회사로 주로 광고대행을 하면서 수수료를 받는 업체다. 최근 민영 미디어랩에 대한 부분 때문에 앞으로도 광고단가는 민영화되면서 제일기획이 가장 큰 수혜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이와는 별개로 삼성전자가 앞으로 스마트폰을 통한 해외에 대한 광고비중을 계속 늘리다 보니까 삼정전자의 직간접적인 수혜를 받을 수 있는 부분도 제일기획이 가장 큰 매력점이라고 볼 수 있을 텐데 최근에 상승기조가 거의 횡보 쪽으로 움직이고 있기 때문에 저가에서 매수를 할 수 있는 타이밍이 아닌가 판단되고 삼성전자를 통한 해외 광고 취급고가 올해 22% 정도 상승될 것으로 전망된다. 시장 자체는 커지지 않지만 계열사에 따른 수혜도 눈 여겨 볼 수 있다고 볼 수 있을 것 같다.
두 번째는 SBS다. SBS도 방송 광고 판매의 자율성이 강화되고 있고 앞으로도 광고 단가 상승에 따른 수혜가 예상된다.
'미디어뉴스 > 미디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시중, 허문도보다 더 나쁘다" - 프레시안 오홍근 (0) | 2012.01.31 |
---|---|
청와대 장악한 'SBS 3인방'..잘나가는 배경은? 아시아경제,노컷뉴스,한국기자협회 (0) | 2012.01.09 |
홍석규 보광회장, 스포츠조선 비하 논란 (0) | 2012.01.09 |
보광그룹, 탈세 어떤 수법썼나 - 디지털세정신문 (0) | 2012.01.09 |
<보광그룹 계열사 내역> 2008년, 자료출처 신학림블로그 (0) | 2012.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