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뉴스/미디어

조선일보 "북 정찰총국 소행 확인"- 미디어오늘

pudalz 2010. 5. 8. 13:10

 

조선 "북 정찰총국 소행 확인"

미디어오늘 | 입력 2010.05.07 10:22

 

7일자 1면 머리 단독보도…"정황 증거 3개 확보"

[미디어오늘 김종화 기자 ]

대북 정보당국은 북한 대남공작 총괄기구인 '정찰총국'이 천안함 침몰을 주도했음을 뒷받침하는 정황 증거를 3개가량 확보, 천안함 침몰이 북한 소행이라는 결론을 내렸다고 7일 조선일보가 전했다.

조선일보는 이날 1면 머리기사 < "북 정찰총국 소행 확인" > 에서 "정보당국은 천안함 사건 초기부터 '북한의 소행이라면 그 주체는 정찰총국일 것'이라는 판단을 바탕으로 광범위한 정보를 수집한 결과 천안함 사건을 담당한 곳이 '정찰총국의 ○국○처'라는 사실까지 확인한 것"이라고 보도했다.

정부 당국자는 "정찰총국 산하에는 기존 정찰국 외에 작전국(당 작전부), 대외정보국(당 35호실) 등 몇개 국(局)이 있다. 천안함 사건은 정찰국과 작전국이 태스크포스(TF)를 만들어 저지른 것으로 본다"고 조선일보 쪽에 말했다. 과거 군 정찰국은 청와대 습격사건(1968년)과 미얀마 아웅산 테러 사건(1983년) 등을 일으켰다.

정보당국은 이와 함께 천안함 공격에 동원됐을 것으로 추정되는 소형 잠수함 또는 잠수정의 움직임도 구체적으로 확인했다고 조선일보는 전했다. 정보 당국은 이런 판단을 민·군 합동조사단의 종합 조사 결과가 나오는 오는 20일 이후 적절한 경로를 통해 밝힐 계획으로 전해졌다.

Copyrights ⓒ 미디어오늘.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선이 그어져 있으니까 무슨 말을 못하랴만 이런 놈들은 도대체 언제 처벌받냐?
정찰총국을 아는 것과 정찰총국의 소행이라는 증거 사이에는 하늘과 땅차이가 있는데도 몇십 년간 이런방식으로 사람을 농락하고 가른다. 증오와 경계 불신은 조선일보의   이다. 사회를 주무르는 가장 강력하고 효과적인 수단. 더러운 놈들과거의 북한관련 특종 그러나 결론은 뻥보도로 볼 때 조선과 안기부는 일심동체가 아닌가 싶다.

국정원이 국가안보를 위해 존재하는지 조선일보의 자회사인지 분명한 태도를 밝혀라. 몇 십년을 이런 식으로 보도해도 처벌받지를 않는다. 지금의 이 보도들에 과연 얼마나 분노할 수 있을까? 조선처럼 보도할 거면 꺼꾸로 조선일보의사주를 받은 남 국정원 지국의 소행이라 해도 되겠다 예전 문익환 방북, 성혜림 망명사건, 김정일 자식보도등 어디 속은 것이 한두번이 아니건만 아무리 써먹어도 언제나 먹히는 보도라 생각하는지.. 너무나 확신에 찬 그러나 시간지나면 뻥인 그러나 처벌받지는 않는

 

 


해당 좃쑨일보기사

 

[단독][천안함 침몰] "北 정찰총국 소행 확인"

정보당국 "어떤 부서가 주도했는지도 파악"… 결정적 정황증거 확보

 

대북 정보당국은 북한 대남공작 총괄기구인 '정찰총국'이 천안함 침몰을 주도했음을 뒷받침하는 정황 증거를 3개가량 확보, 천안함 침몰이 북한 소행이라는 결론을 내린 것으로 6일 알려졌다. 정보당국은 천안함 사건 초기부터 '북한의 소행이라면 그 주체는 정찰총국일 것'이라는 판단을 바탕으로 광범위한 정보를 수집한 결과 천안함 사건을 담당한 곳이 '정찰총국의 ○국○처'라는 사실까지 확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정찰총국은 지난해 2월 노동당 산하 작전부(간첩 침투)와 35호실(해외 공작부서) 등이 인민무력부 산하 정찰국과 통폐합하면서 만들어진 대남 공작의 총본부이다.

정부 당국자는 "정찰총국 산하에는 기존 정찰국 외에 작전국(당 작전부), 대외정보국(당 35호실) 등 몇개 국(局)이 있다"며 "천안함 사건은 정찰국과 작전국이 태스크포스(TF)를 만들어 저지른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과거 군 정찰국은 청와대 습격사건(1968년)과 미얀마 아웅산 테러 사건(1983년) 등을 일으켰다.

당 작전부(정찰총국 작전국)는 현재 대남 공작을 총괄하는 오극렬 국방위 부위원장이 20년 동안 이끌었던 부서로, 간첩의 해상·육상 침투를 전담한다.

정부 소식통은 이날 "그동안 북한의 개입 가능성에 대해 한·미 정보당국이 각종 정보와 첩보들을 역추적해 정황 증거들을 수집해왔다"며 지금까지 3개가량의 결정적인 정황증거를 확보했다"고 전했다. 정보당국은 미 정찰위성과 U-2 정찰기, 한국군의 금강·백두 정찰기, 통신감청 기지 등을 통해 수집한 정보와 인간정보 등을 종합해 이 같은 사실을 파악했다.

정보당국은 이와 함께 천안함 공격에 동원됐을 것으로 추정되는 소형 잠수함 또는 잠수정의 움직임도 구체적으로 확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정보 당국은 이런 판단을 민·군 합동조사단의 종합 조사 결과가 나오는 오는 20일 이후 적절한 경로를 통해 밝힌다는 계획이다.

한편 합동조사단은 인양된 천안함 연돌(연통)에서 화약 흔적을 확인했으며 선체 내에서 발견된 알루미늄 파편이 어뢰의 일부일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정밀조사를 벌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