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DI, 방송정책 싱크탱크인가? 방통위 전위대인가?
신방겸영·공영방송 민영화 등 잇단 이슈 토론회로 주목
[ 2008-11-02 07:00:00 ]
![](http://file2.cbs.co.kr/newsroom/image/2008/10/31180258511_60900080.jpg)
정부 연구기관으로서는 유일하게 신문방송 겸영허용과 공영방송 민영화 등 민감한 미디어 이슈들을 토론에 부치며 공론화하는데 앞장서고 있기 때문이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은 오는 4일 '종합편성과 보도채널 사업자 구도
![](http://www.contentlink.co.kr/images/v4/text_icon_v2.gif)
이영주 호남대 교수의 발제에 이어 종합편성과 보도 분야 방송진출에 관심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신문사와 미디어 산업개편으로 여론 독점을 우려하는 시민사회단체 관계자들이 토론자로 나선다.
연구원은 앞서 '공영방송 범주설정'과 '신문방송 겸영 허용' 등을 주제로 한 워크숍을 열었으며 연말까지 모두 8차례에 걸쳐 민감한 미디어 이슈들을 연속토론에 부쳐 공론화하고 방향을 모색한다는 방침이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이 이처럼 민감한 미디어 이슈들을 공론에 부치면서 주목을 받고 있으나 일방적인 정부의 '미디어 산업구조 개편'논의 거들기 아니냐는 의구심도 불러일으키고 있다.
연구원의
![](http://www.contentlink.co.kr/images/v4/text_icon_v2.gif)
케이블의 경우 신문.방송 겸영을 허용해도 현실적으로 여론독점에 대한 문제가 별로 없고, 공영방송에 대해서도 구조개편이 필요하다는 결론이었다.
연구원의 미디어 이슈 잇단 워크숍은 지난 9월 취임한 방석호 원장의 강한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KBS
![](http://www.contentlink.co.kr/images/v4/text_icon_v2.gif)
연구원 관계자는 연구원의 일방적인 정부 편들기 우려가 있다는 지적에 대해"전에는 주로 정보통신부 관련 연구를 했으나 방송위원회와 정보통신부가 합쳐져 방송통신위원회 출범한 뒤에는 방송정책 연구원을 늘려 관련 연구와 용역을 수행하고 있다"며 "국책연구기관으로서 연구의 방향성에 어느 정도 한계는 있지만 가급적 여러 의견을 제시해 토론과 여론수렴이 이뤄지도록 하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은 현재 민영미디어렙 도입과 관련한 광고시장 경쟁체제 전환과 종합편성 채널 도입 등 방송통신위원회의 방송 관련 주요 정책들에 대한 연구용역을 수행하고 있으며 이르면 연내에 모두 결과를 내놓을 예정이다.
'미디어뉴스 > 미디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한나라당, '사이버모욕죄' 입법 발의-미디어오늘 (0) | 2008.11.05 |
---|---|
[스크랩]“비디오물 등급분류 보류는 위헌” -한겨레 (0) | 2008.11.04 |
[스크랩]정운현 “언론재단 노조, 문화부 하수인 노릇” - 한겨레 (0) | 2008.11.03 |
동아... 부패세습언론의 희망사항 2008/01/08 (0) | 2008.11.03 |
[스크랩]문화부 “신문법 자료신고, 폐지 검토”-미디어오늘 (0) | 2008.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