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뉴스/미디어

[한겨레] 동아투위 진실규명 의미

pudalz 2008. 10. 30. 14:10

‘경영상 이유’ 아닌 ‘정권 요구’로 해임

한겨레 | 기사입력 2008.10.29 19:21 | 최종수정 2008.10.29 23:01



[한겨레] 동아투위 진실규명 의미

'독재 맞선 언론자유투쟁' 공식 인정


동아일보사에 사과·명예회복 권고

33년 전 < 동아일보 > 광고탄압과 기자 대량해고에 국가 권력이 개입한 사실을 밝혀낸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의 29일 결정은 당시 동아 사태가 독재정권과 언론사주의 탄압에 맞선 언론자유 수호투쟁이었음을 국가기관이 공식적으로 확인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진실화해위원회는 이번 결정에서 동아일보 사태에 박정희 정권이 깊숙이 개입한 사실을 입증했다. 1974년 10월23일, 송건호 당시 편집국장이 중앙정보부에 강제 연행되면서 촉발된 동아일보 사태는 동아일보·동아방송 기자와 아나운서·프로듀서 200여명의 10·24 자유언론실천선언과 광고주들의 동아일보 광고 해약사태로 이어졌다. 급기야 이듬해 3월 경찰의 동아일보사 내 공권력 투입과 130여명에 이르는 언론인 대량 해고·정직 사태가 일어났다.

이에 대해 박정희 정권은 동아일보 광고사태는 신문사와 광고주의 문제, 언론인 대량해고는 고용자와 피고용자 사이의 문제일 뿐이라고 주장해 왔다. 그러나 진실화해위의 진상조사 결과, 당시 중정은 광고주들을 지속적으로 불러 동아일보와 동아방송, 신동아 등에 대한 광고 취소를 요구했고, 심지어 격려광고를 낸 시민들까지 압박했다. 또 동아일보가 광고를 다시 재개하는 조건으로 편집국장 등 다섯 자리 국장급 인사에까지 개입했다.

진실화해위는 "박정희 정권이 광고 수주를 차단해 경영 압박을 가함으로써 언론사 사주를 굴복시키는 방식으로 동아일보사를 탄압한 것"이라고 결론내렸다. 이명춘 인권침해조사국장은 "중정이 광고탄압과 기자 해임의 선봉에서 언론탄압을 한 사실을 규명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결정은 특히 동아일보사에 대해서도 책임을 물었다는 점에서 파장이 적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동아일보 경영진은 자사 언론인 대량해고 사태에 대해 지금까지도 박정희 정권의 강압에 따른 강제해고라는 점을 인정하지 않고 경영상의 이유로 해임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진실화해위는 "언론자유를 수호하기 위해 헌신한 자사 언론인들을 보호하기는커녕 정권의 요구대로 해임함으로써 유신정권의 부당한 요구에 굴복한 것"이라며 동아일보사 쪽에 피해 언론인들에 대한 사과와 명예회복을 권고했다. 진실화해위 관계자는 "당시 정부와 동아 경영진 사이에 기자 해고 얘기가 오갔을 텐데 회사 쪽은 정부 요구를 빌미로 더 많은 기자를 해직했다"고 밝혔다.

2001년 민주화운동 유공자로 인정받았던 동아투위는 이번 조처를 환영하면서 이명박 대통령과 동아의 직접 사과를 요구했다. 그러나 동아는 이날 해고무효 소송에 따라 대법원의 법률적 판단이 모두 끝난 사안이라며 진실화해위의 사과 권고를 거부했다. 이에 대해 동아투위 쪽은 동아와 국가를 상대로 민사소송을 제기할 뜻을 밝혀 법정공방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커졌다.

김동훈 이문영 권오성 기자 cano@hani.co.kr
세상을 보는 정직한 눈 < 한겨레 > [ 한겨레신문 구독 | 한겨레21 구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