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를 무단 펌[스크랩]하며
저작권을 무단 게제하는 것이 옳지 않은 것을 알지만 현재의 미디어 보도환경을 고려할 때 진실하고 사실에 입각한 정보가 부족하다.
대안매체가 자랄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려면 훌륭한 기사, 바른 기사가 더욱 노출되고 그런 저작물을 생산하는 매체가 두각되어야 한다.
신문산업에서 경향 한겨레의 점유율이 10%가 되지 못하는 현실을 고려할 때 아직은 더 기사를 통해 매체의 차별성을 알릴 필요가 절실한 상태다. 불과 10년 전만 해도 댄스와 발라드가 주종을 이루던 음악시장이 Rock, R&B, 불루스, 재즈, 힙합, 월드뮤직 등 다양한 음원의 보급을 통해 질정성장과 음원수익시장확대를 이룰 수 있었던 것을 반면교사 삼았으면 한다. 오랜 음반시장의 불황에도 불구하고 현재 음원의 2.3차 저작권유통산업의 등장으로 오히려 음원수입이 다양해지고 듣는수준과 창작수준이 한단계 업그레이드 되어 음악산업 전체의 경쟁력이 글로벌화 된 것이다.
미디어 산업의 구조적 발전을 위해 나의 무단 스크랩을 이해해주기 바란다. 신문은 아직 베이비 걸음마 수준인 것을 인정해야 한다.
참이냐 거짓이냐가 우리나라 신문기사의 수준을 가름하는 잣대가 되는 것이 신문산업의 현실이고 그것은 구조적 부실에 기인하며
구조적 부실은 참언론, 바른 매체의 성장과 유통구조의 혁신을 통해 유통독과점을 막고 아울러 여론 독과점에도 제동을 걸 때 바로 잡을 수 있기때문이다. 참과 거짓을 넘어선 신문산업 종사자와 그 종사자가 내놓는 컨텐츠가 boyond the sea하기를 바다 건너의 이국매체와 경쟁할 수준에 당도하길 바라며... 이것은 '인간은 나면서부터 자유로우며 평등한 권리를 가진다'-'국가는 인간의 자연적 권리를 수호하기 위해 존재한다'는 국민주권과 헌법으로 보장된 나의 인권 즉 기본권을 쟁취하기위한 구차한 변명이다.
경향신문 | 기사입력 2008.08.21 18:39
최근 언론의 보도태도는 명확히 구분된다. 현 정부의 대변자임을 자처하는 대다수의 언론과 공정성과 함께 비판적인 시각을 놓지 않고 있는 극히 일부 언론으로 나뉘었기 때문이다. 현 정부의 언론장악은 출범이전 인수위 시절 '언론사 간부·광고주 성향 파악' 문건 작성으로 시작된다. 이후 방송통신위원회 최시중 위원장 임명, 검색하기 href="http://search.daum.net/search?w=tot&q=%B9%E6%BC%DB%C5%EB%BD%C5%BD%C9%C0%C7%C0%A7%BF%F8%C8%B8&nil_profile=newskwd&nil_id=v20080821183913064" target=new>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MBC 'PD수첩' 중징계, YTN사장 날치기 임명, 방송통신위원회의 KBS 이사 강제 교체, 공영방송 KBS 사장 사퇴압력에 이은 초법적 해임 등 날로 그 수위가 심각해지고 있다.
자유언론으로서의 역할을 어렵게 하는 이 엄혹한 시기에 경향은 드러내놓고 비판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그래서 반갑다. 경향은 지난 12일부터 18일까지 5회에 걸쳐 '李정부의 언론장악'을 제목으로 한 긴급진단 기사를 냈다.
편법·탈법… 국민의 눈·귀 틀어막기, 친정부적 방송재편을 위한 공영방송 낙하산 사장 '코드방송 만들기', 동아 땐 "탄압" MBC 경우 "즉각 집행"의 이중 잣대 꼬집기, 대통령 의중 실린 방통위… 방송 공공성 훼손에 앞장서는 행태의 내용들이다. 18일자 2면의 "정부의, 정부를 위한 언론구축, 미디어법 전면개정 밀어붙이기" 제하의 기사는 친정부적 언론판 구축을 위한 다양한 미디어관련법의 변화를 예측케 한다. 관영 방송화를 위한 국가기관방송법, 방송법 시행령 개정을 통한 정부와 대기업의 방송장악(MBC 민영화 포함), 신문발전위원회와 언론재단 등 신문지원기관의 통·폐합, 신문법·정보통신망법 개정안 등 언론 법제화가 코앞에 있다.
경향의 '언론 장악' 긴급진단에서 아쉬운 점은 진단에 머물러 있다는 점이다. 언론장악의 현실에 대한 인식을 넘어, 현 상황에서 독립 언론으로서의 경향의 방향성에 대한 언급이나 함께 찾을 수 있는 대안들에 대한 분석이 아쉽다. 언론의 근간이 흔들리는 답답한 형국에서 독자들은 그런 돌파구를 기대하고 있지는 않을까. 타개책 논의의 확산을 위한 다양한 층의 목소리를 생생하게 들을 수 있는 기회제공에 대한 아쉬움도 남는다.
물론 경향은 현재 진행 중인 이 움직임에 대해 타 언론과 달리 비중 있게 짚어가고 있다. 언론소비자주권 NGO의 출범(18일자), "정당한 소비자 운동에 검찰권 남용", '조중동 광고압박' 네티즌 영장, 기자협회 "언론장악 저지" 보도(20일자)에 이어 21일자 지면에는 "응모도 하기전 3명 압축·내정설, 청와대, KBS사장 선임 사실상 개입"을 1면 기사로 뽑아 현 정부의 방송에 대한 독립성, 공공성 훼손을 알려냈다. 이어 KBS 사원·노조의 "낙하산 저지 총파업(2면), '광고압박영장'을 규탄하는 '방송장악과 네티즌 탄압 저지범국민행동'의 집회 사진(14면)을 싣고 있다.
현 정부의 언론 장악은 도를 넘어섰다. 존중되어야 하는 언론 자유의 의미가 실종된 지 오래이다. 경향의 지면에서 '언론 장악'의 비판을 넘어서 맞섬의 필요성에 대한 확신과 맞설 수 있는 대안에의 다각적인 모색이 꾸준히 이어지길 기대한다.
< 유경희|한국여성민우회 공동대표 >
- 대한민국 희망언론! 경향신문, 구독신청(http://smile.khan.co.kr) -
ⓒ 경향신문 & 경향닷컴(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미디어뉴스 > 미디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정보통신망법개정안 독소조항 삭제하라" 투데이코리아 (0) | 2008.08.26 |
---|---|
[스크랩]미디어행동 "망법개정안, 인터넷 통제"-아이뉴스24 (0) | 2008.08.26 |
[스크랩][홍세화칼럼] 파시즘의 유령-한겨례 (0) | 2008.08.25 |
[스크랩]김은구外 나머지 후보 4명… 모두 70년대 입사한 KBS맨 - 경향 (0) | 2008.08.25 |
[스크랩]靑 개입 파문에도 ‘제3후보’로 밀어붙이나 -경향 (0) | 2008.08.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