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뉴스/미디어

의사의 양심이 밝힌 진실 '박종철 물고문 사건' - 정웅종, 옛날 신문을 읽다.

pudalz 2014. 12. 20. 02:13

정웅종 기자 (bulddong74@dailypharm.com) 2011-09-24 06:44:54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책상을 탁 치니 억 하고 숨졌다'

1987년 1월 14일 교내시위를 주동한 혐의로 21살의 대학생이 경찰에 붙들려 서울 갈월동 대공분실에서 조사를 받다가 숨졌습니다.

사망시각은 오후 11시10분에서 20분 사이. 중앙대부속 용산병원 내과의사가 현장에 도착해 응급조치와 함께 사체 검안을 진행했는데요.

경찰은 며칠 후 '책상을 탁 치니 억 하고 숨졌다'고 발표 했습니다. 당시 시체 검안을 했던 내과의사는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의 진실을 세상에 알리는 결정적 역할을 하게 됩니다.

'교내시위 주동 혐의 등으로 치안본부 대공수사2단에 연행돼 조사를 받던 서울대 박종철군이 14일 조사 도중 갑자기 쓰러져 병원으로 옮기던 중 숨졌다.'
[1987년 1월16일자 동아일보]

'박종철 사건' 진실 뒤엔 의사의 양심이…

당시 공안정국 상황에서 경찰은 사건을 은폐를 시도합니다. 그러나 한 명의 양심적 의사가 이 같은 부도덕한 공권력을 고발하면서 6.10 민주항쟁의 전기를 마련하게 됩니다.

언론에 박종철 사망 사건이 보도된 후 검안을 했던 내과의사 오연상씨(당시 나이 32세)가 기자들에게 '사망 진단시 박군의 복부가 매우 부풀어 있었으며 폐에서 살아있는 정상인에게서는 들을 수 없는 수포음을 들었다'고 밝힙니다. '대공분실 조사실 바닥에 물기가 있었다'는 말과 함께.

물고문 의혹이 보도되자 공안당국은 사건 발생 5일만에 특별조사단의 자체조사 결과를 발표하게 되죠.

'경찰의 조사를 받다 숨진 서울대 박종철군은 치안본부 대공수사2단의 조사관인 2명의 경찰관이 박군에게 물고문을 가한 끝에 질식해 숨진 것으로 경찰 자체조사 결과 밝혀졌다.'
[1987년 1월19일자 동아일보]




공권력의 부도덕성 고발한 검안 의사 갑작스런 잠적

고문에 의한 젊은 대학생의 죽음 앞에 국민들을 분노 했습니다.

하지만 기자들에게 양심 증언을 했던 의사가 갑자기 잠적하는 사건이 발생합니다. 경찰에 출두해 조사까지 받고 나서 벌어진 일이라 세간의 관심이 집중 됐습니다.

시민들은 "자유로운 활동을 보장해라"며 오연상 의사를 응원했습니다.

 ▲ 공안당국의 사건은폐 의혹이 드러나고 진행된 현장검증에 기자들이 몰리자 경찰들이 이를 통제하고 있다.



'서울대생 박종철군의 사체를 맨 처음 검안, 당시 박군의 상태와 상황을 보도진에 말함으로써 이 사건의 진상을 밝히는데 결정적인 양심의 증언을 했던 중앙대부속 용산병원의사 오연상씨가 5일째 귀가하지 않고 있어 주위사람들의 걱정과 관심을 모으고 있다.'
[1987년 1월23일자 동아일보]

"진실을 증언할 수 밖에 없다는 교훈을 일깨워줬을 뿐…"

의사의 양심에 입각한 증언으로 국민 모두의 공분을 불러 일으키며 6월항쟁의 기폭제가 됐던 오 씨는 무탈하게 가정과 병원으로 돌아오게 됩니다.

그는 그 당시 어떤 생각으로 양심증언을 했을까요? 협박도 있을텐데 말이죠.




'제게 달라진 것이라고는 아무것도 없습니다. 다만 이 사건은 제가 또 다시 같은 상황에 처한다 해도 진실을 증언할 수 밖에 없다는 교훈을 일깨워줬을 뿐입니다.'
[1987년 12월30일자 동아일보 인터뷰]

'진실은 조용하지만 그 영향은 언제나 위대하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그렇습니다. 진실 뒤에는 늘 용기와 양심이 자리잡고 있죠.

즐거운 토요일 재미있는 '신문 속 그 사건' 잘 보셨나요? 다음 주에 다시 찾아 뵙겠습니다.

 

 


 

 

 다독다독 -

 

 

1987년 1월 14일 서울대생 박종철(21살, 언어학과 4년)이 치안본부 남영동 대공분실에서 서울대 <민주화추진위원회사건> 관련 수배자 박종운(, 26살, 사회학과 4년 제적)의 소재 파악을 위한 조사를 받던 중 수사요원 조한경() 경위와 강진규() 경사의 고문으로 숨진 사건.

당초 경찰은 「책상을 <탁>치자 <억>하고 쓰러졌다」며 단순 쇼크사로 발표했으나, 물고문과 전기고문의 심증을 굳히게 하는 최초 검안의 오연상()의 증언과 부검의의 증언이 잇따라 신문지상에 보도되자 경찰은 자체조사에 나서, 사건발생 5일 만인 1월 19일 물고문 사실을 공식 시인하는 한편, 조한경과 강진규를 특정범죄가중처벌법 위반(고문치사)혐의로 구속했다. 사건진상의 일부가 공개되자 신민당이 임시국회소집과 국정조사권 발동을 요구하는 등 정부 여당에 대한 대대적인 공세를 개시하는 한편, 재야종교단체들의 규탄성명 발표, 진상규명요구 농성, 각계인사 9천여 명으로 구성된 <박종철군 국민추도회준비위원회> 발족, <2·7추도회> <33·49제> 등 정국은 고문정권 규탄 및 민주화투쟁의 소용돌이에 휘말려들었다.

이에 전두환 정권은 김종호() 내무부장관과 강민창() 치안본부장의 전격해임, 고문근절대책 수립 등으로 사태를 수습하려 했으나, 5월 18일 천주교 정의구현전국사제단의 성명발표를 계기로 이 사건이 박처원() 치안감, 유정방() 경정, 박원택() 경정 등 대공 간부 3명에 의해 축소조작됐으며, 고문가담 경관이 모두 5명이었다는 사실이 새롭게 밝혀짐으로써 정권에 대한 국민의 분노와 내연하던 민주화 열기가 다시 폭발했다. 정부는 5월 26일 노신영() 국무총리, 장세동() 안기부장, 정호용() 내무부장관, 김성기() 법무부장관, 서동권() 검찰총장 등 권력 내 핵심인물에 대한 문책인사를 단행했으나, 국민의 반독재 민주화투쟁은 격렬하게 전개되어 곧바로 6월항쟁으로 이어짐으로써 이 사건은 5공 몰락의 기폭제가 되었다.

[네이버 지식백과] 박종철고문치사사건 [朴鍾哲拷問致死事件] (한국근현대사사전, 2005.9.10, 가람기획)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박종철고문치사사건

[ ]

이칭별칭 박종철사망사건
유형 사건
시대 현대
성격 고문치사사건
발생·시작 일시 1987년 1월 14일
종결 일시 1987년 1월 14일
관련장소 서울시 용산구 남영동 치안본부 대공분실 509호
관련인물·단체 박종철, 강민창, 박처원, 김승훈,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

정의

서울대학교 학생 박종철이 치안본부 남영동 대공분실에서 조사를 받던 중 경찰의 고문으로 사망한 사건.

개설

전두환정권 말기인 1987년 1월 14일, 경찰은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학생 박종철을 불법 체포하여 고문하다가 사망케 했다. 이 사건은 공안당국의 조직적인 은폐 시도에도 불구하고 그 진상이 폭로되어 1987년 6월항쟁의 주요한 계기가 되었다.

역사적 배경

전두환정권의 탄압과 그에 대한 저항은 1980년대 중·후반에 더해가고 있었다. 경찰은 ‘민주화추진위원회사건’ 관련 수배자 박종운의 소재 파악을 위해 그 후배인 박종철을 불법으로 체포했다.

경과

경찰은 박종철에게 폭행과 전기고문, 물고문 등을 가했다. 박종철은 1987년 1월 14일 치안본부 대공수사단 남영동 분실 509호 조사실에서 사망했다. 같은 달 15일 강민창 치안본부장은 단순 쇼크사인 것처럼 발표했다. “냉수를 몇 컵 마신 후 심문을 시작, 박종철군의 친구의 소재를 묻던 중 갑자기 ‘억’ 소리를 지르면서 쓰러져, 중앙대 부속 병원으로 옮겼으나, 12시경 사망하였다”고 공식 발표했다. 부검의()의 증언과 언론 보도 등으로 의혹이 제기되자 사건발생 5일 만인 19일에 물고문 사실을 공식 시인했다. 수사경관 조한경과 강진규 등 2명을 구속했다.

정부는 내무부장관 김종호와 치안본부장 강민창의 전격 해임과 고문근절 대책 수립 등으로 사태를 수습하려 했다.

결과

1987년 5월 18일 광주민주화운동 7주기 추모미사에서,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의 김승훈 신부는 박종철 고문치사와 관련된 경찰의 은폐 조작을 폭로했다. 치안본부 5차장 박처원 등 대공간부 3명이 이 사건을 축소 조작하였고, 고문가담 경관이 2명이 아니라 5명이었다는 사실이 폭로되었다. 안기부, 법무부, 내무부, 검찰, 청와대 비서실 및 이들 기관의 기관장이 참여하는 관계기관대책회의가 은폐 조작에 조직적으로 관여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의의와 평가

박종철 고문치사와 은폐 조작사건은 전두환정권의 정당성에 큰 타격을 주었고 정권 규탄 시위를 촉발했다. 이 사건은 1987년 6월항쟁의 중요한 계기로 작용하여 민주화운동의 촉매제 역할을 했다.

참고문헌

  • 『87-88년 인권보고서』(대한변호사협회 편, 1989)
  • 「고문경찰관 12년만의 회한 토로」(『동아일보』, 2000.1.9)
  • 「이제야 마침표를 찍는다-박종철사건 수사검사의 일기」(안상수, 『동아일보』, 1995)
  • 「박종철 고문의 진상을 밝히다」(이부영, 『희망의 정치로 가는 길』, 두리, 1992)

    [네이버 지식백과] 박종철고문치사사건 [朴鍾哲拷問致死事件]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두산백과

박종철고문치사사건

[ ]

요약
1987년 1월 14일 서울대생 박종철()이 치안본부 남영동 대공분실에서 조사를 받던 중 고문·폭행으로 사망한 사건.
언제 1987년
어디서 치안본부 남영동 대공분실
누가 박종철
어떻게 조사중 사망
고문, 폭행

경찰은 처음에는 단순 쇼크사로 발표하였으나, 물고문과 전기고문의 심증을 굳히게 하는 부검의()의 증언으로 사건발생 5일 만인 19일 물고문 사실을 공식 시인하고, 수사경관 조한경과 강진규를 특정범죄가중처벌법 위반 혐의로 구속하였다. 사건진상의 일부가 공개되자 신민당은 정부여당에 대하여 대대적인 공세를 개시하였으며, 재야단체들은 규탄성명을 발표하고 진상규명을 요구하며 농성에 들어가는 한편, 각계인사 9천 명으로 구성된 ‘박종철군 국민추도회’ 등을 주도하였다.

이로 인하여 정국은 고문정권규탄 및 민주화투쟁의 소용돌이에 휘말려들었다. 이에 정부는 내무부장관 김종호와 치안본부장 강민창의 전격 해임과 고문근절대책 수립 등으로 사태를 수습하려 하였다.

그러나 5월 18일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의 성명을 통하여 치안감 박처원과 경정 유정방·박원택 등 대공간부 3명이 이 사건을 축소조작하였고, 고문가담 경관이 5명이었다는 사실이 새롭게 밝혀졌다. 이 폭로로 서울지검은 6명을 추가 구속하였고, 정부는 주요 인사에 대한 문책인사를 단행하여 사태를 수습하려 하였으나 경찰과 검찰의 사건은폐조작 시도는 정부의 도덕성에 결정적인 타격을 주었다.

그리고 이 사건과 관련된 일련의 추모집회와 규탄대회는 개헌논의와 연결되면서 6월항쟁으로 이어져 87년 민주화운동의 촉발제가 되었다.

박종철고문치사사건
발생시기 주요사건

1986년 4월 1일

서울대학교 재학생 박종철 군이 청계피복노조 합법화 요구 시위로 구속됨.

1986년 7월 15일

박종철 군 징역 10개월(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고 출소.

1987년 1월 13일

출소 이후에도 학생운동 활동을 이어가던 박종철 군이 하숙집에서 치안본부 대공분실 수사관에게 연행됨.

1987년 1월 14일

'대학문화연구회' 선배 박종운의 소재를 묻는 고문을 당하던 중 조사실에서 사망.
우연히 사건의 단서를 접하게 된 중앙일보 신성호 기자가 박종철 군 사망 관련 2단 기사를 내보냄.

1987년 1월 15일

치안본부장 강민창이 박종철군은 수사 중 돌연 사망했다고 공식발표.

1987년 1월 16일

사건 당일 현장을 목격한 중앙대병원 전문의 오연상이 고문에 의한 사망 가능성을 제기.

1987년 1월 17일

박종철 군 부검을 담당한 국립과학수사연구소 황적준 박사가 물고문과 전기고문 흔적이 확연히 드러나는 부검 결과를 발표.

1987년 1월 19일

고문 사실을 시인하고 수사경관 조한경과 강진규가 특정범죄가중처벌법 위반 혐의로 구속됨.
고문에 대한 시민 항의가 민주화투쟁으로 이어지자 정부는 내무부장관 김종호과 치안본부장 강민창을 전격 해임.

1987년 5월 18일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이 정부의 사건 축소조작을 폭로.
경찰과 검찰의 사건은폐조작 시도와 관련한 규탄대회와 박종철 군 추모집회가 개헌논의와 연결되면서 6월민주항쟁으로 이어짐.

[네이버 지식백과] 박종철고문치사사건 [朴鍾哲拷問致死事件] (두산백과)

 

 

시사상식사전

박종철 고문치사사건

1987년 1월 14일, 23세의 서울대학교 학생 박종철이 서울 남영동 치안본부 대공분실에서 조사 받던 중 고문으로 숨진 사건.

당시 수사요원 조한경 경위와 강진규 경사는 서울대학교의 <민주화추진위원회사건> 관련 수배자의 소재 파악을 위해 박종철을 조사, 물고문하던 중 박종철의 상태가 이상하자 즉시 인근 중앙대 용산병원 응급실에서 의사 오연상씨를 불렀으나 오씨가 도착했을 때 이미 박종철은 숨진 뒤였다.

다급해진 경찰은 이날 오후 보호자와 이미 합의를 했다며 서울지검에 시신의 화장을 요청한다. 증거인멸을 위한 경찰의 이 요청은 거부됐다.

15일 석간신문에 조사받던 학생이 쇼크사했다는 기사가 나가자 가혹행위의 가능성이 조심스럽게 비춰졌다. 오후 강민창 치안본부장이 변사사실을 공식 시인했으나 단순 쇼크사인 것처럼 발표했다.

다음은 당시 치안 본부장이 발표한 내용의 일부이다.
"냉수를 몇 컵 마신 후 심문을 시작, 박종철군의 친구의 소재를 묻던 중 갑자기 '억' 소리를 지르면서 쓰러져, 중앙대 부속 병원으로 옮겼으나, 12시경 사망하였다"

16일 신문에 오른쪽 폐에 탁구공 크기만한 출혈이 있었다는 부검입회 가족의 증언이 실리고 17일 사체를 첫 검안한 의사 오씨의 “조사실 바닥에 물이 흥건했다”는 등 고문 시사 증언이 신문이 보도됐다.

결국 치안본부 특수대는 17일 수사에 착수 19일 고문사를 공식인정하면서 조한경 강진규 2인을 고문 치사 혐의로 구속했다.

이어 2월27일 검찰은 공범이 3명이 더 있다는 자백을 들었으나 경찰의 방해로 수사에 착수하지 못했다. 5월18일 천주교 정의구현 사제단이 이 사실을 폭로하자 5월20일 황정웅 반금곤 이정호 등이 즉시 구속되고 5월 29일에는 2 억원 입금 통장 등으로 범인 축소조작에 나선 박처원 치안감, 유정방 경정, 박원택 경정 등 3명이 범인도피죄로 구속됐다.

이에 따라 정국은 고문정권 규탄 및 민주화투쟁에 들어갔으며, 그 뒤 고문가담 경관이 모두 5명이었다는 사실이 새롭게 밝혀짐에 따라 국민의 반독재 민주화투쟁은 더욱 격렬하게 전개되어 6월항쟁으로 이어졌다.

사건발생 1년 후인 88년 1월15일 황적준 국과수 과장의 경찰 회유 메모가 보도되면서 강민창 당시 치안본부장이 직권남용 및 직무유기 혐의로 구속 되었다.

이후 박군의 유족은 국가를 상대로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내, 2억4000여만원의 배상금을 지급받게 되었다. 그러자 국가는 다시 고문사건에 연루됐던 일선 고문경관들을 상대로 구상금 청구소송을 냈다. 대법원은 지난 2000년 12월 26일 "배상액의 70%를 일선 고문 경관들이 배상하라"는 판결을 내렸다.

[네이버 지식백과] 박종철 고문치사사건 (시사상식사전, 박문각)

1987년 1월 14일 발생한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은 전두환 정권의 도덕성에 치명적인 타격을 가함으로써 그해 6월 민주화운동을 촉발시켰다. 그로부터 22년의 세월이 지났지만 1987년 6월 민주화운동 당시 한국 언론의 역할에 대한 공정하고 객관적인 분석이나 평가는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는 한국 신문들이 박종철 사건을 어떻게 보도했는지, 신문별로는 어떤 차이가 있었는지, 그리고 박종철 사건의 진상 규명과 1987년 6월 민주화운동 과정에 신문들의 보도가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 연구 주제에 관한 선행연구는 대단히 빈약하다. 한국 신문이 박종철 사건의 진상 규명과 6월 민주화운동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는 다수 언론인들의 증언 기록이 있지만 학계에서는 당시의 전체 언론을 ‘제도언론’으로 규정했을 뿐만 아니라 민주화운동에 대한 언론의 기여를 인정한 경우는 드물었다. 한국 언론사에 관한 다수의 책들에서도 박종철 사건의 진상 규명이나 6월 민주화운동에 미친 한국 신문의 영향에 대한 서술은 단편적이거나 아예 빠져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이런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한국의 대표적인 민간 신문인 <동아일보>와 <조선일보>, 그리고 정부 소유의 기관지였던 <서울신문>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해 각 신문의 박종철 사건에 대한 보도 내용에 대한 양적 질적 비교 분석을 실시했다. 먼저 3개 신문의 1면과 사회면의 전체 기사 898건과 사설 칼럼 등 의견기사 100건 등 모두 998건을 대상으로 분석했다. 이어서 1면과 사회면의 톱기사, 중간 톱기사, 5단 이상 크기의 기사 등 중요 기사 229건에 대해서 기사의 핵심의제, 성격, 계기, 방향 등을 신문별, 박종철 사건의 전개 과정별로 분석했다. 아울러 박종철 사건과 6월 민주화운동에 대한 각종 기록과 당시 언론인들과 학생운동 지도자 및 재야인사들의 증언 기록과 심층 인터뷰 내용도 분석에 활용했다. 분석 결과 박종철 사건에 관한 3개 신문의 보도는 신문별로 양과 내용에서, 그리고 박종철 사건의 진상 규명과 6월 민주화운동 과정에 미친 영향이라는 측면에서도 의미 있는 차이가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기사의 양은 <동아일보>(345건)와 <조선일보>(338건)가 비슷했다. <서울신문>은 전체기사가 215건으로 <동아일보>보다 37.7%, <조선일보>보다 36.4%나 적었다. 그러나 1면과 사회면의 톱기사, 중간 톱기사, 5단 이상 크기의 기사 등 중요 기사는 <동아일보>가 94건으로 가장 많았다. 이는 <조선일보> 76건보다 18건이나 많은 것이고 <서울신문> 59건보다는 35건이나 많은 것이다. 중요 기사의 의제, 방향, 성격, 계기 등에 대한 분석에서도 <동아일보>가 가장 적극적이며 독자적인 취재를 통해 정부 여당에 가장 비판적인 기사를 많이 게재했으며 사건의 수사와 진상 규명 과정에서 가장 많은 문제를 제기한 것으로 나타났다. <동아일보>는 정부 여당에 비판적인 사설과 칼럼 등 의견기사를 가장 많이 게재했고 <서울신문>은 야당과 재야에 비판적인 의견기사를 가장 많이 실었다. <조선일보>는 정부 여당에 대한 비판보다 조언이나 제언 그리고 충고하는 내용의 의견기사를 가장 많이 실어 박종철 사건 자체에 대해서는 비판적이었지만 친정부 성향이 있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각 신문이 박종철 사건의 진상 규명과 6월 민주화운동 과정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결과 <동아일보>는 다수의 특종기사와 기획기사로 박종철 사건 보도를 시종일관 주도함으로써 진상 규명을 위한 중요한 계기를 여러 차례 제공했고 박종철 사건이 국민적 의제로 부상하는데 크게 기여함으로써 6월 민주화운동 과정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를 받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선일보>는 박종철 사건의 초기보다는 중기와 후기에 더 적극적으로 보도했지만 정부 여당에 우호적인 지면 제작을 한 경우도 많았다. <서울신문>은 일관되게 정부와 여당의 입장을 대변하는 역할에 충실했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한국 신문들이 박종철 사건을 각 신문의 위상과 내적 외적 요인에 따라 상당히 다르게 보도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1987년 당시 한국 신문들을 동일시하는 것은 공정한 평가라고 할 수 없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특히 박종철 사건을 계기로 정부 여당에 대한 강력한 비판과 적극적인 지면 제작으로 시종일관한 <동아일보>에 대해서는 박종철 사건의 진상 규명과 6월 민주화운동 과정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가 있어야 할 것이다. 전두환 정권 때 한국 언론이 권력의 억압과 통제를 극복하지 못한 채 언론의 사명을 다하지 못했다는 것은 공지의 사실이며 언론과 언론인들이 부끄럽게 여겨야 할 일이다. 6월 민주화운동의 최대 공로자는 권위주의 정권의 탄압에 굴하지 않고 투쟁한 야당과 재야 세력, 대학생과 종교계 지도자들, 그리고 민주화를 염원한 국민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박종철 사건을 계기로 어려운 여건에서도 권력에 대한 국민적 분노와 저항을 촉발하고 지지하고 지원함으로써 6월 민주화운동에 기여한 신문에 대해서는 객관적이며 공정한 평가가 있어야 할 것이다.

이 연구는 박종철 사건보도와 그 이후 6·29 선언까지 한국의 민주화에서 국내언론의 기여에 대한 서울시민의 평가와 집단적 기억을 분석했다. 이를 위해 윌리암스의 감정구조와 반다이크의 상황모델이란 분석틀을 사용해 박종철 사건보도와 민주화 과정에 대해 얼마나 기억하고 있는지를 설문조사했다. 서울시민은 박종철 이름을 포함해 당시 이러한 사건이 이루어진 배경에 대한 사회문화적 거대구조를 잘 기억해 냈다. 하지만 박종철 사건의 세부사항으로 갈수록 이를 기억해 내는 비율이 점차로 줄어들었다. 이러한 발견에 근거해 서울시민의 박종철 사건보도에 대한 집단적인 상황 모델과 민주화에 대한 국민적인 정서구조를 분석했다. 이어 한국의 민주화 의제형성에서 언론의 역할에 대해 조명해 보았다.

Twenty years after the Korean people`s uprising against the authoritarian government in June 1987, investigative reporting of the Park Jong Chul case holds a mystic status whether it played a catalystic role in the process of South Korea`s democratic movement. one sector of a so-called progressive civilian power group has criticized that Korean mass media in general was opportunistic when they covered people`s democratic movement, even including Park`s death, in 1980s. Nevertheless, the leading elites in the field of journalism and conservatives who support press freedom have claimed that without investigative reporting of the Park case and their contributing scoops, Korean democratic movement could not have been achieved. They argue that people were able to acknowledge the military government`s violation of human rights and wrongdoing through media coverage. This research examines how the Korean citizens in Seoul have evaluated the press`s role in its coverage of the Park case and the mass media`s influence on people`s perception, feeling and situation model of the South Korea`s democratic movement. Quite far from actual performance of Korean media`s coverage of the Park case, citizens of Seoul recognize that press performed poorly in the coverage of democratic movement in 1987. Nevertheless, people acknowledge that Korean press played a pivotal role in making people informed about the government`s wrongdoing in its handling of the Park case and provided the people with a situation model of Korea`s democratization. This study discusses the theoretical implication of seemingly contradictory findings of this research and suggests possible practical ways to improve media`s performance during the societal transformation to political democra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