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udalkin @soonhearim @chmbcunion 1. 지상파 노조 뭐하고 있나요? "난 자사렙 반대요~~" 성명서 달랑 한장 냈습니다. 2. 원칙은 시민이 주인인 방송이다? 대한민국의 모든 주권은... http://t.co/7WryYhVk
-
@parktaejun 그런 공생관계를 막자고 미디어랩 설립하자는 것 아닙니까? 그런데 언론이 갑이라 소유주가 있고 대기업이라, 방송통신컨텐츠를 장악하고 있어 이나라가 암울한 것 아닙니까. 갑이란 공영을 제외한 사기업언론과 대기업을 말하죠. 현실직시.
-
Retweeted byPudalkin
-
@Pudalkin 원칙을 부정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적극 지지합니다. KBS, MBC는 공영이라 갑이 아닐까요? 현실을 직시하기에 부족하나마 입법을 지지하는 거구요. 나쁘지만 실력없는 종편(아직은), 착한 것... http://t.co/yLBWnLZp
-
@parktaejun 좀 냉정하게 말하면 지금 문방위소위를 통과한 광고직거래를 허용하는 랩법은 미디어랩법이 아니고, 한나라당, 종편, SBS, CBS, 군소신문,일부지역방송,언론연대가 제정하고싶은 것이지, 국민, 야권정당이 제정하고 싶은 건 아니죠.
-
@parktaejun 아이러니 한 것은 종편과 조중동, 한겨레, 경향, 세계, 국민 CBS SBS 한나라당의 이해가 딱 맞아떨어져요. ㅎ 국민에겐 재앙인데 ㅋㅋㅋ 이래서 콩깍지라 하는 것입니다. 삼성 MS 조중동종편의 MOU 무섭습니다.
-
@Pudalkin 트위터 상의 이야기로 정리될 입장 차이는 아닌 것 같습니다. 가는 길은 잠시 다르지만 큰 길에서 다시 만날 거라 생각합니다.
-
@parktaejun 이것은 사실 원칙의 문제도 아닙니다. 깨지말아야할 원칙의 가치는 중요하죠. 쌍방의 이해 관점이 다를 때 어느 편을 드는 것까지도 수용할 수 있지만 그 자신이 이해당사자(갑)일 때 탄생하는 언론의 문제(비극)를 좀더 고민해주세요.
-
@parktaejun 종교방송, 일부지역방송, 취약매체, 군소PP, 군소신문들에겐 밥줄의 문제죠. 그러나 그 밥줄 지키려다 모두 잃게 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4년간 싸웠고요. 지상파로 인해 고통당한 외주, 독립PD들 입장도 이해하지만 더 큰것을 위해
-
@parktaejun 할 얘기는 많지만 줄입니다. 한마디만 하자면 종편시청률 낮아도 생존합니다. 채널A정도는 어찌될지모르지만. 우리가 모르는 노하우가 있습니다. 그들에겐 미래를 대비한
-
@Pudalkin 네. 좋은 밤 되시고요. 자주 남기신 글 보며 가끔은 여쭙기도 하겠습니다.
-
@parktaejun 큰 일이니 ....제조업, 방송, 지식재산그룹의 담합. 그것을 목적으로 하는 조중동류세력에게 그 길목에 있는 미디어랩을 하지 않고 길을 터주어야 하느냐. 광고직거래를 허용하느냐 문제이니 신중하게 잘 생각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RT @tankja:삼성이 돈을 낼 때까지, 생각날때마다 RT해 보자. "삼성중공업이 3년 전 태안 앞바다 기름유출사고 피해 주민들에게 출연하기로 약속한 지역발전기금 1천억원을 아직 전달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http://t.co/UOr6DrRetweeted byPudalkin -
@FugioErgoSum 어떻게 말해야할지 모르겠으나 누가 모두가 선망하는 직종의 생사여탈권을 가지고있느냐 방송통신산업을 소유지배하고 있는 갑이냐의 문제겠죠
공영의 광고파이는 작은 문제고 광고언론을지배하는 권력의 문제는 큰문제같아요대를위해좀참죠? -
그래서 진실을 마주하게 되면 입이 닫힌다. 숨쉬기가 어려워지고 도망가고 싶기만 해진다. 진실은 그래서 용기 있는 자만이 쟁취할 수 있다.Retweeted byPudalkin
'pudal > 언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2년 1월6일 Facebook 이야기 (0) | 2012.01.06 |
---|---|
2012년 1월5일 Facebook 이야기 (0) | 2012.01.05 |
2012년 1월4일 Twitter 이야기 (0) | 2012.01.04 |
2012년 1월3일 Facebook 이야기 (0) | 2012.01.03 |
2012년 1월3일 Twitter 이야기 (0) | 2012.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