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좀 자극적으로 말하면 학교재단이 월 200만 원도 되지 않는 돈을 지난 8년간 법정재단(의무)전입금으로 내셨는데, 본인이 이사로 재직한 학교에 어떤 해는 23억, 8년 평균 10억이상씩 정부보조금이 지급되었는데 좀 부끄럽지 않으신가? 보통 이사로 재직하는 자식들은 곧 재단 이사장이 되든데요? 나도 월 250만원씩 낼 테니 재단이사장 좀 시켜주면 안 되나요? 설립자가 많은 돈은 쓴 것은 맞으나 그렇다고 투자대비 손해본 것도 없잖아요? 재산이 느니까요? 사학, 돈만 많으면 땅짚고 헤엄치기 장사 아닌가요? 면세받고 국민돈으로 부지 늘리고, 건물증축하고, 임용권장사하고, 기부받고....www.hani.co.kr
-
21세기에 가장 중요한 시민주권가운데 하나인 Publc access권(대중이 만든 작품을 대중이 접하고 매체를 통해 내보낼 권리)신장을 위해 11년째 열리고 있는 시민영상제갔다가 화곡고등학교 졸업하신 박모씨에게서 충격적인 이야기를 들었다. 재학당시에 열병식을 했고 나교장과 친구교감이 훈시를 하면 해가 중천에 뜰 때도 있었다고 한다. 군대보다 더 심한 군대식 훈련을 하였고 당시 지어지고 있던 건물의 노역에 동원된 것은 물론 사열 때 고개만 잘못돌려도 점심시간에 벌로 특훈을 받았단다. 그래서 당시 학생들 사이에 교장과 교감별명이 nude (나채)sex(성), pennis head였다고 한다. 해가 중천에 떠오르면 반짝이는 대머리를 보고 그렇게 붙였다는데. 관련기사를 찾아보니 MBC출신 이상호기자님도 같은 증언을 하고 계시네요. 지난 여름 광주갈 때 나경원이 우연히 화제가 되었었는데 같은 이야기를 들었지만 그 때는 흘려들었지만, 시장후보로 나오시니 이사로 재직중인 학교로 감회가 새롭네요www.newsface.kr
이상호 MBC 기자가 자신도 나경원 서울시장 한나라당 후보가 이사로 11년간 재직한 화곡 고등학교를 다녔다며 관련 글을 소개해 관심을 모으고 있다. 트위터와 인터넷에는 화곡고등학교 졸업생이라며 ‘벽돌 나 -
21세기에 가장 중요한 시민주권가운데 하나인 Publc access권(대중이 만든 작품을 대중이 접하고 매체를 통해 내보낼 권리)신장을 위해 11년째 열리고 있는 시민영상제갔다가 화곡고등학교 졸업하신 박모씨에게서 충격적인 이야기를 들었다. 재학당시에 열병식을 했고 나교장과 친구교감이 훈시를 하면 해가 중천에 뜰 때도 있었다고 한다. 군대보다 더 심한 군대식 훈련을 하였고 당시 지어지고 있던 건물의 노역에 동원된 것은 물론 사열 때 고개만 잘못돌려도 점심시간에 벌로 특훈을 받았단다. 그래서 당시 학생들 사이에 교장과 교감별명이 nude (나채)sex(성), pennis head였다고 한다. 해가 중천에 떠오르면 반짝이는 대머리를 보고 그렇게 붙였다는데. 관련기사를 찾아보니 MBC출신 이상호기자님도 같은 증언을 하고 계시네요. 지난 여름 광주갈 때 나경원이 우연히 화제가 되었었는데 같은 이야기를 들었지만 그 때는 흘려들었지만, 시장후보로 나오시니 이사로 재직중인 학교라 감회가 새롭네요
http://www.newsface.kr/news/news_view.htm?news_idx=3553&PHPSESSID=758ca2b4cc8b75fbd9208d842d43f5abwww.newsface.kr
이상호 MBC 기자가 자신도 나경원 서울시장 한나라당 후보가 이사로 11년간 재직한 화곡 중학교를 다녔다며 관련 글을 소개해 관심을 모으고 있다. 트위터와 인터넷에는 화곡 중‧고등학교 졸업생이라며 ‘ -
제 11회 민언련 시민영상제 소식
촛불 우리들의 이야기, 왜 우리가 제작한 우리들의 작품은 방송에 내보낼 수 없을까요? 타인에게 말 할 수 없을까요? 국민과 나의 문제를 방송을 통해서 공유할 수 없을까요? 지상파, 공익채널, 케이블 기존 방송이 보여주는, 선택한 것만 봐야 하나요? 우리에겐 그저 인터넷, 독자 오피니언 투고의 권리만 있을까요?
Publc access(대중매체이용,대중끼리의 접속보장)권이란? 민언련 홈페이지 참고/ 출품작품 중 페스티발 한 장면
http://www.ccdm.or.kr/board/Mboard.asp?Action=view&strBoardID=notice_01&intSeq=43488제 11회 민언련 시민영상제 소식
촛불 우리들의 이야기, 왜 우리가 제작한 우리들의 작품은 방송에 내보낼 수 없을까요? 타인에게 말 할 수 없을까요? 국민과 나의 문제를 방송을 통해서 공유할 수 없을까요? 지상파, 공익채널, 케이블 기존 방송이 보여주는, 선택한 것만 봐야 하나요? 우리에겐 그저 인터넷, 독자 오피니언 투고의 권리만 있을까요?
Publc access(대중매체이용,대중끼리의 접속보장)권이란? 민언련 홈페이지 참고/ 출품작품 중 페스티발 한 장면
http://www.ccdm.or.kr/board/Mboard.asp?Action=view&strBoardID=notice_01&intSeq=43488
'pudal > 언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1년 10월25일 Twitter 이야기 (0) | 2011.10.25 |
---|---|
2011년 10월25일 Facebook 이야기 (0) | 2011.10.25 |
2011년 10월23일 Facebook 이야기 (0) | 2011.10.23 |
2011년 10월22일 Twitter 이야기 (0) | 2011.10.22 |
2011년 10월22일 Facebook 이야기 (0) | 2011.1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