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뉴스/미디어

법무법인 ‘바른’은 사실상 MB정부의 법률전담 법인 - 경향신문

pudalz 2011. 9. 5. 20:21

법무법인 ‘바른’은 사실상 MB정부의 법률전담 법인

강병한 기자 silverman@kyunghyang.com

 

법무법인 ‘바른’이 주목받고 있다. 정동기 감사원장 후보자가 2007년 대검 차장으로 퇴직한 직후 청와대 민정수석으로 가기 전까지 7개월 동안 7억원 가까이를 받은 곳이 바른이다.

법무법인 바른은 사실상 이명박 정부의 ‘법률 전담 법인’으로 불러도 무방하다. 이명박 정부 들어 여권과 관련된 소송을 줄줄이 맡고 있기 때문이다. 바른은 정권 출범 전부터 현 정부와 인연을 맺었다. 2007년 대선 당시 불거진 도곡동 땅 사건의 실소유주 논란 당시 이명박 대통령의 처남인 고 김재정씨의 변호를 담당한 곳이 바른이다.

특히 당시 대검 차장이던 정 후보자는 그해 8월 한나라당 의원들과의 면담 자리에서 “도곡동 땅이 이명박 후보의 것이라는 증거가 없다”고 밝혀 논란에 종지부를 찍는 역할을 했다.

 

현 정부 출범 이후에는 여권의 주요한 정치적 사건을 담당하면서 급성장했다. 이 때문에 법조계에서는 “노무현 정부 때 최대 수혜자가 법무법인 화우라면 이명박 정부에서는 법무법인 바른이다”이라는 말이 나돌았다.

바른은 2008년 8월 정연주 KBS 전 사장의 해임 집행 정지 신청 사건에서 이명박 대통령 측 법률 대리를 맡았다. 당시 변호를 맡은 강훈 변호사는 현 정부 초기 청와대 법무비서관 출신으로 ‘바른’을 설립한 인물이다. 이때 청와대 민정수석이 바로 정동기 후보자다.

같은달 김윤옥 여사의 사촌언니 김옥희 씨의 공천 로비 사건에서 김옥희씨와 구속된 브로커 김태환씨의 변호를 잠시 맡은 곳도 바른이다.

또한 서울 광화문 일대 상인 172명이 ‘미국 쇠고기 수입 반대 촛불시위’로 손해를 입었다며 광우병국민대책회의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가 패소한 사건에서 상인측 법률 대리인을 맡았던 곳도 바른이었다.

바른은 지난 2009년 미디어법 날치기 처리 이후 야당이 김형오 국회의장 등을 상대로 제기한 미디어법 권한쟁의 심판청구 사건에서도 정부 측 변호를 맡았다.

바른은 1998년 변호사 5명으로 시작했지만 지난해말 현재 국내외 변호사와 변리사 등 120여명을 보유한 국내 굴지 로펌으로 성장했다. 서울고법 판사출신으로 바른을 창립한 강훈 대표변호사는 2005년 이석연 법제처장과 함께 보수적인 변호인 단체로 알려진 ‘시민과 함께하는 변호사들’을 발족하기도 했다.

현재 판사 출신 변호사인 김동건 대표, 대법원장 출신 최종영 고문변호사, 대법관 출신 박재윤 변호사, 국내 최초 여성 지방법원장 출신인 이영애 변호사, 박철 전 서울고법 부장판사, 명로승 전 법무차관, 문성우 전 대검 차장, 노무현 비자금 수사를 지휘한 이인규 전 대검 중수부장이 포진해 있다.

ⓒ 경향신문 & 경향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