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dal/언론

2011년 6월13일 Twitter 이야기

pudalz 2011. 6. 13. 23:59
  • profile
    성추행 고대 의대생. 여자애가 술사왔으니 여자에게도 책임있고 사과 못한다는 그 해명. 본인글 아니라고 한적 아직 없지요? 정말 그 친구가 쓴건가봐요?
    Retweeted byPudalkin
  • profile
    11) 대학 등록금 논란이 가능하면 많은 국민들이 저렴한 비용으로 양질의 교육혜택을 받을 수 있는 교육시스템을 구축하는 문제로 확대돼야 합니다. 그렇지 않고 단순히 세금을 사립대에 더 주고 등록금 깎아주라는 식으로 가는 것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Retweeted byPudalkin
  • profile
    경찰 참.. 뭘 못하시겠습니까. 저도 사법처리해주시죠. "경찰 "김여진씨 조만간 사법처리할 것" 한진중공업 사태 파장 확산될 듯" http://bit.ly/mQTYf2
    Retweeted byPudalkin
  • profile
    등록금 집회를 굳이 야간불법집회라고 표현하라고 지침 내린 경찰청. 그게 일선 경찰의 착오라고? 그런 엄청난 실수가 경찰조직에선 가능한 건가요? 상부명령도 없이?
    Retweeted byPudalkin
  • profile
    조선일보가 박근혜씨 당선되면 정권 재창출 아닌 정권교체라고 주장하기 시작했네요. 애매한 문구로 설문조사해서 국민여론인척 기사 쓰고. 늘 국민의 눈과 귀를 가리고 사주의 이익에 충실하는.
    Retweeted byPudalkin
  • profile
    9) '반값 등록금' 구호를 통해 대학등록금 문제에 관한 정치권과 여론의 관심을 증폭시키는데는 성공했습니다. 이제부터는 세밀한 정책과 해법으로 대학 등록금 문제를 실질적으로 해결하도록 해야 합니다. 사학이나 언론, 정치권에서 장난치지 않도록 해야
    Retweeted byPudalkin
  • profile
    7) http://bit.ly/j1nFUs 정책으로 사교육 부추긴 뒤 세금으로 사교육 줄인다고? 대학등록금 문제 이전에 한국 교육이 왜 고비용 저효율 구조 속에서 학부모와 학생들이 죽을 고생을 하는 구조인지를 설명합니다.
    Retweeted byPudalkin
  • profile
    사립대들이 정부가 지원한만큼만 등록금 내린댑니다. 당신들 곳간에 매년 8천억씩 적립금 쌓아두고 있는 거 다 압니다. 학생 한명당 80만원씩 등록금 더 걷은 거 우리는 다 압니다. 부끄러운줄 알아야죠!
    Retweeted byPudalkin
  • profile
    http://bit.ly/iwDs7f 재정 뒷전 ‘땅에 올인’한 사립대들. 지금까지 대학들이 제2캠퍼스니, 제3캠퍼스니 핑계대며 비싼 등록금 받아 땅투기해왔다는 사실은 너무나 명백. 대학들부터 학생들 두뇌보다 땅에 투자하는 토건 공화국!
    Retweeted byPudalkin
  • profile
    http://bit.ly/lbR87F '파리 날리는 대학'에도 매년 세금 1300억 지원. '반값 등록금피' 반대를 위한 의도로 보이지만, 90년대 난립했던 부실,부패사학 구조조정은 국공립 위주로 고등교육재정 집행 효율화 위한 전제조건입니다
    Retweeted byPudalkin
  • profile
    http://bit.ly/lvW8W0 사립대총장협 “정부 지원액만큼 등록금 내릴수 있다”. 학생들에게 쓰지 않았던 적립금으로 등록금 인하하라고 했더니 무슨 헛소리일까요? 부실, 부패사학 구조조정 반드시 필요하고 재정지원은 국공립 위주로 늘려야
    Retweeted byPudalkin
  • profile
    "@kennedian3: 사립대총장협 “정부 지원액만큼 등록금 내릴수 있다”. 학생들에게 쓰지 않았던 적립금으로 등록금 인하하라고 했더니 무슨 헛소리일까요? 부실, 부패사학 구조조정 반드시 필요하고 재정지원은 국공립 위주로 늘려야" 맞고요또맞습니다♥

'pudal > 언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1년 6월14일 Twitter 이야기  (0) 2011.06.14
2011년 6월13일 Facebook 이야기  (0) 2011.06.13
2011년 6월12일 Facebook 이야기  (0) 2011.06.12
2011년 6월12일 Twitter 이야기  (0) 2011.06.12
2011년 6월11일 Facebook 이야기  (0) 2011.0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