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외층 구독료 지원, 조·중·동에 집중
한겨레 | 입력 2010.10.12 20:00
[한겨레] 작년보다 최대 89% 늘어
"특정신문 구독 강요" 비판
한국언론진흥재단이 올해부터 소외계층에 대한 신문 구독료 지원 사업의 선정 기준을 '희망매체'에서 '열독률' 등으로 바꾸면서 이른바 조·중·동의 지원 부수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재단은 지난해까지 지원 대상자의 희망에 따라 신문을 선정했으나 올해부터는 열독률과 광고지수(광고비를 신문사끼리 상대비교해서 지수화한 것) 등을 지원 기준으로 삼고 있다. 이런 기준 변경에 대해 재단이 현 정부와 친화적인 조·중·동을 배려하기 위한 것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됐다.
12일 재단이 국회에 제출한 자료를 보면 지난해와 견줘 동아는 89%, 조선과 중앙은 각각 65%씩 지원 부수에 대한 구독료가 늘었다. 반면 한겨레와 경향은 각각 47%, 21% 줄어들었다.
재단은 중앙일간지와 경제지 등 17개 신문 가운데 어린이신문을 뺀 14개 신문을 5개 그룹으로 분류해 그룹별로 같은 부수를 배정했다. 첫번째 그룹인 조·중·동의 지원부수는 각각 9938부로, 둘째 그룹인 경향, 한겨레, 한국, 매일경제(4770부)와 견줘 2배 이상 차이가 난다. 이 방식에 따라 동아는 지난해 5300부에서 올해는 2배 가까이 늘어난 9938부를 배정받았다. 한겨레의 경우, 지난해 9114부에서 올해는 4770부로 떨어졌다.
복지시설 등을 대상으로 한 소외계층 구독료 지원사업은 2008곳의 기관에 평균 4부씩, 402곳의 다문화 가정 등에 1부씩 지원하고 있다.
천정배 민주당 의원은 이날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국가가 특정신문 구독을 강요하는 것은 개인의 선택권을 보장하지 않아 헌법에 위배되는 것"이라고 지적했으며 최종원 민주당 의원도 "소외계층의 정보 선택권을 제한하는 아주 잘못된 방향"이라며 "특정신문에 대한 강제구독 사업을 원래대로 돌려놓을 것"을 주문했다.
문현숙 선임기자 hyunsm@hani.co.kr
세상을 보는 정직한 눈 < 한겨레 > [ 한겨레신문 구독 | 한겨레21 구독 ]
공식 SNS 계정: 트위터 www.twitter.com/hanitweet / 미투데이 http://me2day.net/hankyoreh
ⓒ 한겨레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한겨레는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
'미디어뉴스 > 미디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광그룹 수사, 종편과 무관한가? - 미디어토씨 (0) | 2010.10.16 |
---|---|
지역 신문 죽으면 지방자치도 죽어요 - 한겨레 (0) | 2010.10.13 |
법 근거 없이 ‘행정지도’ 동원해 ‘종편 특혜’ - 한겨레 (0) | 2010.10.13 |
노종면 인터뷰 “현 정권의 언론장악 5·6공 닮아가고 있다” - 경향신문 (0) | 2010.10.13 |
롯데미도파노조 롯데백화점 노원점 민주노조사수 파업투쟁 (0) | 2010.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