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연구소가 유료회원들께 발송하는 <경제시평>자료의 '시사경제'에서는 지난주부터 "언론들의 부동산투기 선동보도 배경"을 2회 연재로 게재하고 있습니다. 주 내용은 언론 특히 신문들의 부동산투기 선동보도의 배경에는 경영실적 악화가 자리하고 있다는 사실을 분석하고 있습니다. 언론들이 자신들의 광고수익을 올리기 위해 부동산시장의 실제와는 다른 조작된 보도를 남발하여 일반인들을 기만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런 엉터리 조작보도로 인해 일반인들이 손해를 보든 말든 상관없이 말입니다.
그런가 하면 조중동 등 일부 언론들이 왜 미디어법에 목매다는지 그 이유도 명확히 알 수 있습니다. 이번 주 초에
조중동의 유가지 구독부수는 기하급수적으로 격감하고 있습니다. 그나마 유료구독 계층의 대부분이 고령층입니다. 계속되는 구독부수 격감과 독자 고령화로 광고 효과도 크게 떨어지고 있습니다. 기업들 입장에서는 더 이상 근거없는 고액의 광고단가로 효과없는 광고를 실을 이유가 없다는 것입니다.
'시사경제'의 "언론들의 부동산투기 선동보도 배경" 내용 중에서.........
중앙일보의 매출액은 2002년 4,174억원을 정점으로 지난해에는 3,056억원으로 줄어 -1,118억원이나 감소했다. 올해 상반기의 매출액도 1,267억원(연환산 2,535억원)으로 연환산 기준으로 지난해보다 무려 -521억원이나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보는 지난해에 -213억원의 대규모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또 올해 상반기에만 -257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해 지난해 한해 동안의 영업손실 규모를 상회하고 있다. 그런가 하면 지난해 -397억원의 대규모 당기순손실을 기록했고, 올해에도 상반기에만 -395억원의 대폭적인 당기순손실을 기록하고 있다.
연간 신문구독료18만원을 기준으로 하면 유료 구독부수는 35.5만부에 불과한 것으로 보인다. 만일 경품 8만원에 연간 신문구독료를 10만원으로 가정하더라도 유료 구독부수는 최대 64만부에 불과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중 기업과 관공서 등 단체구독 부수가 대략 20만부 수준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실제로 개인이 돈을 내고 구독하는 유료 구독부수는 15만부에서 최대 44만부 정도에 불과한 상태로 보인다. 그야말로 시대의 변화에 따른 신문의 몰락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증거라고 할 수 있다.
다음에, 조선일보의 매출액은 2002년 4,817억원을 기록한 뒤 계속 감소하여 지난해 3,722억원으로 줄었다. 매출액이 6년 만에 -1,095억원 가량 줄어든 것이다. 조선일보도 중앙일보와 마찬가지로 올 상반기 매출이 동일하게 감소했다고 가정하면 대략 연환산 3,087억원으로 전년대비 -635억원 감소한 것으로 예상된다. 또 작년에 188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했는데, 조선일보가 중앙일보와는 달리 작년에 영업이익과 순이익을 기록한 것은 조선일보의 유동성 및 비유동성 투자자산이 2,230억원에 달하기 때문이다. 단순히 5% 이자만을 계산해도 이자수익만 110억원을 넘는다. 실제로 신문사업에서는 중앙일보와 마찬가지로 큰 폭의 손실이 발생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올해에는 -210억원 가량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연간 구독료 18만원을 기준으로 유가 구독부수를 계산해보면 41만부 가량에 불과하다. 연간 구독료를 10만원으로 잡아도 74만부에 불과하다. 이중 기업과 관공서 등 단체구독 부수 20만부를 제외하면 개인 구독부수는 21만부에서 최대 54만부에 불과한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동아일보 역시 매출액은 2002년 3,749억 원에서 지난해 2,659억원까지 줄었다. 6년만에 -1,090억원 가량 줄어든 것이다. 올해에는 2,200억원에 그쳐 전년대비 -459억원의 매출 감소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동아일보는 지난해 -84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했으며 올해에는 -480억원으로 급증할 것으로 전망된다.
신문 연간구독료 18만원을 기준으로 보면 25만에도 미치지 못한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연간구독료를 10만원으로 간주해도 44만부에 불과한 실정이다. 기업과 관공서 등 단체구독을 제외하면 사실상 개인 유료구독자는 5만부에서 최대 24만부에 불과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동아일보는 1999년 7,648억원에 이르던 자산 규모가 지속적으로 줄어 지난해에는 4,156억원까지 급감했다. 자산 매각으로 매년 발생하는 대규모 영업손실을 메우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2004년 동아일보가 소유하고 있던 여의도 문화센터 부지를 팔아 장부상으로는 약 469억원의 당기순익을 기록했다. 앞으로 경기침체가 계속될 경우 대규모 손실로 위험에 빠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과연 자산매각으로 언제까지 매년 막대한 손실을 메울 수 있는지 의문이다.
*제가 쓴 책 '위험한 경제학1-부동산의 비밀편'에 보내주신 성원에 감사드립니다. 부동산 광고에 목을 맨 기득권 언론들이 전하지 않는 진실을 담으려 밤을 지새워 가며 노력했습니다. 저는 가족들이 오순도순 살아갈 집 한 채 마련하는 것이 목표인 일반 서민가계가 현재 부동산 시장의 위험 구조를 모르고 언론의 선동보도에 휩쓸려 자칫 그릇된 판단을 하게 될까 걱정할 뿐입니다. 신중하시기를 당부드립니다.
**참고로, 위험한 경제학의 내용들은 평소 제가 아고라에 써온 글들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동일인이 쓴 글인데 그 형식이 바뀐다고 해서 달라지면 얼마나 달라지겠습니까? 물론 책 출간을 위해 별도로 쓴 원고들도 상당 부분 있지만, 아고라나 우리 연구소포럼에서 제 글을 꾸준히 읽어오신 분들은 굳이 사서 읽으실 필요 없습니다. 물론 아직 제 생각을 잘 모르는 분들이나, 전체적인 기획과 구성 아래 제 생각의 맥락을 좀더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싶은 분들께는 책이 도움이 될 것입니다.
정부와 언론이 왜곡하는 경제 정보를 꿰뚫어보고 건전한 민주주의 시장경제 건설을 위한 좀더 의미 있는 토론과 참여를 원하시는 분들은 김광수경제연구소포럼(http://cafe.daum.net/kseriforum)을 방문해주십시오.
산정기준이 아주 단순명료해서 이해하기 쉽군요. 이런 산정방법도 있구나 하고 새롭습니다.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위의 매출액은 광고 매출액을 말하는 거겠죠? 중앙같은 경우 작년 베..판 윤전기 도입에 들어간 돈을 생각하면 손실의 정도가 더 크겠네요. 위와 같은 손해가 지속된다면 그 기업은 문을 닫아야 정상입니다. 그러나 그렇지 않은 것은 외형적인 손실이 커도 본사에 전가되는 부담이 적기 때문입니다. 손실을 부담하는 주체가 따로 있기 때문이죠. 신문사 경영을 총체적으로 연구해보면 좋을 듯합니다.예를 들면 조중동 모두 전국에 약 4400여 개의 지점이 존재하죠. 또한 매일 아침 조중동에 전단광고를 하는 곳이 대략 45.000여 곳 정도 됩니다. 영업의 손실은 위탁판매점을 가장한 지점이 부담하고(경품,무가지 등의 판촉비용) 부풀려진 지면광고단가 만큼 전단광고도 부풀려져 있기에 지국과 본사의 수익보전이 가능합니다. 매일 신장개업하는 가게 한 곳에 30만 원씩만 사기를 쳐도(전단제작비를 제외한 실 전단 광고비는 한 지국당 2~5만원 이내 이지만 발행부수를 부풀려서 보통 30~60만원 받는다,1장당작은 것 15원,큰 것23원) 그 불로소득이 작은 금액은 아니죠.
혹시 경향이나 한겨레를 무료로 보신 분이 계시다면(경향은 그런 곳이 있겠지만 한겨레는 절대 그런 일이 있을 수 없지만) 그것은 조선이나 중앙,동아 일보지국이 한겨레 경향을 배달대행할 때 가능합니다. 조중동 지국이 한겨레나 경향을 함께 취급하는 곳이 있기 때문입니다. 전단광고를 빼면 신문유통은 남는 것이 없는 장사입니다. 구독자로 부터 만 오천 원을 받아도 배달비 3000원 기름값 사무실비,직원인건비(총무,경리등), 신문지대(본사에 내는 물건값)를 내고 나면 남는게 없습니다. 한겨레나 경향은 배달비 3000원을 매달 지급하며 독자에게 1년동안 무료로 넣어줄 능력이 없습니다. 혹시 그런 일이 있었다면 그것은 한겨레, 경향을 겸영하는 소수의 지국에서 발생할 수도 있는 일입니다. 한겨레는 구조적으로 불가능함. 당신이라면 수익(전단수익)도 없는데 매달 5천원 정도의 돈을 들여 1년간 타인에게 넣어주겠는가? 상식으로 생각해보면 알 수 있습니다. 서로 오해하지 마시길.
광고매출로 유료부수를 산정했다면 위의 산정방식이 타당한 것은 광고단가는 발행부수를 기준으로 평가받고 광고매출은 광고단가를 적용하여 올린 총 매출액이다. 발행한 부수에 대하여 받은 광고매출이니 그것을 기준으로 발행부수를 나누는 것은 타당하다 할 수 있다.신문사의 주 수입원은 광고매출이기 때문이다. 신문지대수익은 미미하다 2~30% 미만 일 것이기에. 설령 지대수익을 합산하여도 광고매출과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 광고매출과 지대수익을 합산하여 그 총액으로 발행부수를 계산해도 크게 차이가 나지 않을 것 같다. 그만큼 신문에서 차지하는 광고의 비중은 크다. 어느 통계에 보니까 미국이나 일본은 광고수익 비중이 5~60%라는데 우리는 10%까지 떨어졌다나. 신문 한 부 제조원가만 16,000원이라니 적정가는 2만~2만 5천 원 정도 이 중에서 지대가 2~5천원 정도니 나머지는 광고수익으로 채운다고 봐야 한다. 결국 소비자는 제품을 살 때 제품값의 10%정도를 더 지불하는 것이다. 기업이 광고료를 적정가보다 비싸게 지불하면 부담은 소비자에게 전가되고 불로소득은 신문사로 간다. 조중동은 앉아서 소비자에게 10%씩 더 뽀찌를 뜯는 것이다. 기업이 아니라 조중동이.
'미디어뉴스 > 미디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이만배 참회와 정진]문순c의 무한도전이 가능한 이유 (0) | 2009.10.24 |
---|---|
[스크랩] "사진 보시"를 받았습니다. (0) | 2009.10.24 |
전직 신문기자로서 정리해보는 한국 신문의 여론조작법2 by 케네디언 (0) | 2009.10.03 |
전직 신문기자가 말하는 한국신문의 여론조작법1 by 케네디언 (0) | 2009.10.03 |
[스크랩] MB 시대 정치자금 조·중·동으로? -시사인 (0) | 2009.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