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중동만을 위한 언론법” 지역신문도 ‘뿔’났다 | |
부산일보·매일신문·전북일보등 16곳 공동대처 부당경품 눈감는 신문법 개정안 등 강력 비판 “독과점매체만 혜택…지역신문 기반 붕괴 우려” | |
![]() |
![]() ![]() |
영남권 석간신문인 <부산일보>(‘거대 전국지 공세에 날개 달아주는 꼴’)와 <경남신문>(‘지역신문 유린하는 신문고시 폐지’)은 30일치 1면 기사에서, <매일신문>(‘지역신문 유린하는 신문고시 폐지’)은 3면 기사에서 정부의 신문고시 폐지 움직임을 강하게 비판했다. 매일신문은 “정부와 한나라당이 이번 임시국회에서 신문법 등 미디어법을 강행처리하려 하면서 편향된 신문관련 정책을 끼워넣고 있다”며 “하나같이 조중동 등 거대 신문사들에 혜택을 주려 할 뿐 지역신문에 대한 배려나 관심은 찾아보기 힘들다”고 비판했다. 경남신문도 “반칙이 난무하며 공정거래 질서가 파괴되고 있음에도 정부와 한나라당은 신문시장 질서를 바로잡기는커녕 오히려 신문고시 폐지에 앞장서고 있다”고 지적했다. <전북일보> <강원일보> <한라일보> <중부매일> <제민일보> <국제신문> <경상일보> <경남일보> <경남도민일보> <영남일보> <충청타임즈> <강원도민일보> <경인일보> 등 13개 지역 일간지는 1일치 조간신문을 통해 같은 내용의 비판기사를 실었다.
이들 16개 지역신문은 신문고시를 주제로 한 첫 기사 외에, 각각 정부 신문지원제도의 문제점과 신문·방송 겸영의 폐해를 지적하는 두 번째, 세 번째 기사를 연이어 보도할 계획이다. 모두 ‘지역신문 공동기획’이란 공통의 꼭지명을 달고 사흘 연속 지면을 탄다. 이 신문들은 집중 보도가 가능하도록 지금까지 운영하지 않던 미디어 담당 기자까지 배치했다. 이번 공동 기사는 전국언론노조 지역신문위원회에서 6월 초부터 각 신문들과 협의해 틀을 짰다. 지역신문들이 정부·여당 언론관계법을 비판하는 기사를 적극 보도하고 나선 데는 이명박 정부 들어 취해진 언론정책들이 지역언론의 생명줄을 끊는 대신 조중동 거대신문 지원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판단이 깔려 있다. 한나라당이 강행 처리를 시도하고 있는 신문법 개정안은 부당 경품과 무가지 제공 규제 조항(10조)을 전면 삭제하는 방안을 담았고, 문화체육관광부가 5월 발표한 에이비시(ABC) 제도 개선안도 유가부수 인정 기준을 구독료의 50%(현행 80%)로 낮춰 조중동에 절대적으로 유리한 정책이다. 최근 공정거래위원회가 신문고시 폐지까지 검토하고 나서면서 지역신문들의 분노를 자극했다. 한국지방신문협회(‘1도 1사’ 신문인 9개 신문이 회원)는 지난달 25일 경남 창원에서 열린 정기총회에서 ‘신문법 개정 반대’ 의견을 모으고 강력 대처 방침을 정했다. 전국지방신문협의회(‘1도 1사’ 신문 외 28개 지역일간지가 회원)도 이튿날 긴급 회장·고문단 회의를 열고 “한나라당이 끝내 몇몇 독과점 매체를 위해 대한민국 모든 지방신문의 기반을 붕괴시킬 수도 있는 길을 열어주려 한다면 국민과 함께 끝까지 강력히 대처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문영 기자 moon0@hani.co.kr |
'미디어뉴스 > 미디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진당 "신문고시 폐지, 메이저신문사 특혜 우려" -미디어오늘 (0) | 2009.07.06 |
---|---|
이용경 방송법, 언론법 논란 절충점 될까 -피디저널,김세옥 (0) | 2009.07.06 |
[이사람] ‘민주주의 보루’ 제값 받고 뿌려야죠 -한겨레,권귀순 (0) | 2009.07.06 |
'MB 야간잠행' 기사에 담긴 웃음 포인트 4가지-오마이뉴스 (0) | 2009.07.06 |
서울신문 편집국장 직선제 폐지되나-미디어오늘 (0) | 2009.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