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뉴스/미디어

통신[스크랩] 3사 오늘 주파수경매 신청, "황금주파수는 없다"

pudalz 2016. 4. 18. 11:50

통신3사 오늘 주파수경매 신청, "황금주파수는 없다"

아시아경제 | 이창환 | 입력 2016.04.18. 09:46


이통 3사 오늘 주파수 경매 신청서 접수
예상보다 경쟁 치열하지 않을 것으로 전망

[아시아경제 이창환 기자] 이동통신 주파수 경매일 다가오면서 이번 경매의 흥행여부에 대한 시장의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경매 계획이 처음 나온 시점에는 황금주파수라고 불리는 2.1GHz 대역 20㎒폭에 수요가 몰려 경매가가 치솟을 것이라는 예상이 많았다. 그러나 최근에는 통신사들이 출혈경쟁을 피해서 대역을 나눠 가질 것이라는 의견이 우세하다.

18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과 KT, 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 3사는 이날 오후 미래창조과학부에 주파수 경매 참가를 신청한다. 미래부는 경매 신청을 받은 뒤 사업자 적격 심사를 거쳐 이달 말부터 경매를 시작할 예정이다.

이번에 할당된 주파수는 700㎒대역 40㎒폭(A블록), 1.8㎓대역 20㎒폭(B블록), 2.1㎓대역 20㎒폭(C블록), 2.6㎓대역 40㎒폭(D블록) 및 20㎒폭(E블록) 등 5개 블록 총 140㎒폭이다. 각 블록 경매 시작가격인 최저경쟁가격은 A블록은 7620억원, B블록은 4513억원, C블록은 3816억원, D블록은 6553억원, E블록은 3277억원으로 총 2조5779억원이다.

이중에서 가장 경쟁이 치열할 것으로 예상되는 주파수는 C블록 2.1GHz 대역이다. SK텔레콤과 KT가 C블록을 확보할 경우 기존에 확보한 대역과 합쳐 초광대역(60MHz)을 가질 수 있으며 LG유플러스도 현재 20MHz에서 40MHz로 광대역 확보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C블록은 이번 주파수 경매에서 황금 주파수라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실제로 미래부도 C블록은 사용기간이 5년이고 대역폭이 20㎒폭임에도 불구하고 최저 입찰가격을 3816억원으로 책정했다. 다른 주파수 대역과 동일한 조건이라면 1조5264억원에 달하는 비싼 가격이다. 정부도 C블록을 이번 주파수 경매의 핵심 대역으로 보고 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2016년 경매 대상 주파수
2016년 경매 대상 주파수


하지만 몇가지 이유로 인해 C블록을 차지하기 위한 통신사들의 경쟁이 예상보다 치열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우선 재할당 대가 연동이라는 변수 때문이다. 정부는 올해 연말에 사용 기간이 끝나는 SK텔레콤과 KT가 보유한 2.1㎓ 대역의 재할당 가격과 C블록 주파수 경매 낙찰 가격을 연동하기로 했다. C블록의 낙찰 가격이 올라갈수록 SK텔레콤과 KT의 재할당 대가는 상승하기 때문에 양사가 C블록에 마음껏 베팅을 할 수가 없는 구조다.

통신사의 한 관계자는 "경매에 나온 2.1㎓대역의 20㎒폭을 가져가면 이통 3사 모두 큰 투자비를 들이지 않고 초광대역이나 광대역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당연히 관심이 많다"면서도 "재할당 대가 문제가 있기 때문에 SK텔레콤과 KT이 해당 대역에 크게 베팅하기 어려운 구조"라고 설명했다.

140Mhz 대역에 이르는 많은 매물이 경매에 나온 것도 통신사들의 경쟁 의지를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평가 받는다. 광대역 블록만 3개에 협대역까지 총 5개 블록이 경매로 나왔기 때문에 현재 통신사들의 주파수 수요를 놓고 봤을때 사업자별로 특정 주파수 대역을 확보해야 할 유인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이미 통신사들이 주파수를 많이 확보해 놓은 상황이라 이번 주파수 경매를 통해 광대역을 가져가도 과거보다 서비스 제공속도가 크게 늘어나지 않는다는 점도 이번 경매에 과열이 없을 것이라는 예측을 뒷받침 하고 있다.

박덕규 목원대 정보통신융합공학부 교수는 "이번에 워낙 경매로 나온 물량이 많아서 이통사들의 선택의 여지에 따라 경쟁이 안심할 수도 있다"며 "대역이 여러개 나왔기 때문에 이통사마다 자기들이 원하는 대역이 따로따로 정해지면 경매는 쉽게 끝날 것으로 보인다"고 예측했다.

망구축 의무가 과거보다 강화됐다는 점도 통신사들의 경매 적극 참가 의지를 망설이게 하는 요인으로 분석된다. 정부는 통신사들에게 전국망을 기준으로 최대 65%의 망구축 의무를 부과했고 매년 일정 부분의 투자를 집행하게 했다.


이는 종전에 기준이던 5년 내 30% 구축 의무보다 강화된 사항이다. 그러나 이통사들은 이미 4세대(LTE)망을 상당부분 구축했고 기지국도 충분한 상황에서 필요 이상으로 많은 기지국을 구축해야 돼 중복투자가 불가피해진다고 주장하고 있다.

망구축 의무의 강화로 인해 광대역에 비해 관심이 떨어지는 협대역의 경우 유찰 가능성까지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통신업계 관계자는 "현재 통신사들이 전부 광대역 블록에 관심이 있지 협대역 블록에는 상대적으로 관심이 적은 편"이라며 "굳이 협대역을 가져갈 필요가 있냐는 이야기도 나온다"고 말했다.

이같은 여러가지 요인들로 인해 이통 3사가 광대역 블록인 A, C, D 블록을 하나씩 나눠가지고 큰 출혈 경쟁 없이 최저 경쟁가격 근처에서 주파수 경매를 끝낼 것이라는 예상이 나온다.

미래부 고위 관계자는 "황금주파수란 원래부터 없었다"며 "이통사들 본인들에게 필요한 주파수가 황금주파수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창환 기자 goldfish@asia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