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올림픽” 약속한 평창의 딜레마
등록 : 20110707 20:28 | 수정 : 20110707 22:27
원시림 보고’ 가리왕산에
알파인스키장 건설 예정
강원도 “수목 옮겨 심겠다”
환경단체 “생존율 높지않아”
|
||||||
강원도는 정선군 가리왕산의 중봉과 하봉 일대에 880억원을 들여 10면의 슬로프를 갖춘 알파인 경기장을 지을 계획이다. 남녀 스키 활강경기가 열리는 이곳의 남자 슬로프는 중봉(높이 1433m)을 출발점으로 3.3㎞, 여자 슬로프는 하봉(높이 1380m)을 출발점으로 2.5㎞의 길이다. 하지만 이곳은 남한에서 생태계가 가장 우수한 곳 중 하나다. 멸종위기종인 담비와 삵, 하늘다람쥐 등이 살고 분비나무와 주목이 자라 산림유전자원 보호구역으로도 지정돼 있다.
산림유전자원 보호구역은 산림법에 따라 개발행위가 엄격히 제한된다. 알파인 경기장과 보호구역의 중복 면적은 9~10㏊(2만7000~3만평)에 이른다. 문제는 대체 부지가 마땅치 않다는 점이다. 남자 활강스키장의 경우 길이 3360m, 표고차 880m 이상의 슬로프가 나와야 하는데, 이런 국제규격을 만족하는 곳이 가리왕산밖에 없다. 이에 따라 정부와 강원도는 ‘평창 동계올림픽 지원에 관한 특별법’ 제정을 통해 산림법을 피해 가겠다는 입장이다. 1997년 무주·전주 겨울유니버시아드대회와 99년 강원 겨울아시안게임 때도 사용된 ‘편법’이다.
이 때문에 정부가 유치운동에는 적극 나섰으면서도 정작 환경훼손에 대한 검증에는 손을 놨다는 지적이 나온다. 녹색연합은 “가리왕산 환경훼손 가능성에 대해선 제대로 된 논쟁조차 없었다”고 지적했다. 산림청 관계자는 “이와 관련된 공식적인 협의 요청이나 공문을 받은 적이 없다”고 말했다.
강원도는 이 일대 수목을 다른 곳으로 옮겨 심을 계획이다. 하지만 환경단체들은 “무주 덕유산에서 이식된 수목도 고사하는 등 생존확률이 낮다”고 지적한다.
환경은 올림픽 정신을 구현하는 중요한 가치로 자리잡았다. 2000년 시드니 올림픽 때 오스트레일리아 정부는 멸종위기종인 ‘그린 앤드 골든벨 개구리’를 보호하기 위해 경기장 터를 옮기기도 했다. 평창겨울올림픽 유치위원회도 올림픽 계획에서 “평창의 다양한 친환경 프로젝트로 생태계 활성화와 다양성을 개선할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
환경단체 등에서는 환경훼손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지적한다. 서재철 녹색연합 자연생태국장은 “환경 올림픽 가치를 실현하기 위한 최적의 해결책을 찾으려면 정부가 밑바닥부터 다시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남종영 기자 fandg@hani.co.kr
'환경뉴스 > 그 외 짬뽕' 카테고리의 다른 글
PassMark - CPU Mark -Updated 13th of November 2011 (0) | 2011.11.13 |
---|---|
백지영, 약속 (김범수) / MBC 나는 가수다 3월27일 (0) | 2011.07.14 |
"'올림픽의 저주', 과연 평창을 피해 갈까?"- 프레시안 (0) | 2011.07.08 |
"분위기 좋았지만 이렇게 압도적일 줄 몰랐다" - 오마이뉴스 (0) | 2011.07.07 |
비욘세 컴백, 비욘세 라이벌은, 레이디 가가 아닌 아델(Adele) (0) | 2011.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