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dal/언론

2011년 1월19일 Twitter 이야기

pudalz 2011. 1. 19. 23:59
  • profile
    KBS - 60명 징계 플루, MBC - 단협 살처분, SBS - 독립성 매몰, YTN - 인터뷰 살처분;; "방송 잔혹사 보고 대회" 내일(20일) 오전 10시, 국회 의원회관 - 언론 자유 포크레인 매립 현장 증언;; 폭풍 참가 희망
    20:53|
    Retweeted byPudalkin
  • profile
    우리가 음악 한 곡 500원에 사면 작곡가에게 가는 돈 단돈 5원, 작사가에게 가는 돈 5원, 편곡자 3원: 오늘 오후 2시, 달빛 요정 사례로 본 인디 음악의 미래, 홍대 상상 마당, 많이 와 주시면 감사!! OTL
    20:54|
    Retweeted byPudalkin
  • profile
    여러 유권자님들의 고결한 의견에 따라 "무상" 대신 "의무"라는 단어를 정책 용어로 채택할 수 있도록 당 정책위에 공식 건의하기로 했습니다 정책위 의장은 전병헌 의원이시니 많은 논객들의 적극적인 토론부탁올립니다-"언어가 세상을 규정한다"
    20:55|
    Retweeted byPudalkin
  • profile
    "이제 심심해서 어떡허우?" 퇴임하는 유인촌 장관이 맞수 킬러 최종원 의원을 만나서 던진 말, 최 의원 답변; "또 한 놈 찾아야지!"
    20:55|
    Retweeted byPudalkin
  • profile
    MBC 단체협약은 방송의 독립성을 추구한 구성원들의 헌신, 희생, 눈물의 결과물이자 MBC의 헌법 @mbcpdlee: 김재철이 사장연임을 위해 단체협약으 파기했습니다. MBC단협은 공정방송 훼손에 대한 견제장치를 담아 20년 넘게 지켜왔습니다
    20:56|
    Retweeted byPudalkin
  • profile
    저작권, 컨텐츠산업 진흥 방법: 국민 사이의 정보교육격차가 커지면 사회에 위화감이 만연하고 다툼이 증가하기에 보편적 의무교육을 하듯 산업을 진흥하고 창작을 진흥하려면 유저층의 확보, 유저층의 수준고양에 힘써야 한다. 진짜로 창작자를 보호하려면 유저중심
    22:11|
  • profile
    의 정책을 펴야 한다.대기업대자본가를 위한 저작권보호냐 창작자를 위한 저작권보호냐가 진흥의 핵심이고 창작자를 보호하려면 유저층의 확보, 층의 수준고양에 노력해야 합니다. 소비자가 없이 생산자만 있을 수는 없듯이 유져수준차와 감소는 산업의 도태로 직결됨
    22:14|
  • profile
    대기업과 대자본가가 배타적 독점적 저작권을 행사하는데, 유저층이 증가할 리도 없고, 유저의 (일종의 교육)수준차가 줄어들 리도 만무합니다. 누구를 위한 저작권보호냐를 염두해야 하고 배타적으로 "불법"에만 방점을 찍지 않는 데서,
    22:18|
  • profile
    도서관처럼 의무적으로 선양 배급하는데서, 산업적 기반을 튼튼히 할 수 있습니다 R&B, 힙합을 들어보지 못했는데 R&B 힙합이 주류가 될 수 있는지, 설령 창작자가 있어도 들어줄 사람이 있는지가 중요합니다
    22:23|
  • profile
    저작권정책의 중심에 (지금으로선) 창작자와 유저를 둬야 산업이 퇴보하지 않고 발전합니다. 지금의 저작권정책은 꺼꾸로 가는 정책이며 결코 창작자를 보호해주기는 커녕 노예로 전락시키고 대자본가만을 위해 저작권을 호도합니다.지식정보기술이 더 돈이되기 때문
    22:28|
  • profile
    창작자도 자신의 저작권을 보호받지 못하거나, 보호되지 않는 것이 불법다운로드에 있지 않음을 알아야 합니다. 무분별한 다운로드를 원망할 것이 아니라 유통배급하는 거간꾼의 지나친 초과마진, 농간을 시정하려고 노력해야 합니다 창작의 근원을 생각해봐야 합니다
    22:42|
  • profile
    괜히 TV,신문에 불법다운로드 때문에 창작의욕이 상실된다고 대기업의 입장에서 말하는 것은 어리석은 것 같습니다. 공중에 노출될 기회만 보장되어도 좋아할 창작자가 더 많은 것이 현실입니다. 비싼 집이 없으면서도 종부세를 원망하는 것과 비슷합니다
    22:43|
  • profile
    한마디로 저작권 보호를 통한 컨텐츠산업진흥의 핵심은 거래처의 이익도 보호해야 내 사업도 번창하는 원리에 있습니다. 불법다운로드근절을 통한 대기업의 배타적 이익확보가 아니라 유저의 이익,수준,층 확보를 통한 창작자와 창작물보호에 있으며 보급확보에 있음
    22:57|

'pudal > 언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1년 2월1일 Twitter 이야기  (0) 2011.02.01
2011년 1월21일 Twitter 이야기  (0) 2011.01.21
2011년 1월15일 Twitter 이야기  (0) 2011.01.15
2011년 1월14일 Twitter 이야기  (0) 2011.01.14
2011년 1월13일 요즘 이야기  (0) 2011.0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