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dal/언론

2010년 12월11일 Twitter 이야기

pudalz 2010. 12. 11. 23:59
  • profile
    카톨릭 대구 교구는 팔공 골프장 까지 소유하고 있는데, 이 골프장은 대구의 상징 팔공산을 깎고 세워졌다. 모든 골프장 허가를 전두환이가 해주고 있던 시절 이 골프장이 각종 특혜 의혹을 받으면서 건립되었다
    08:56|
    Retweeted byPudalkin
  • profile
    우리나라에서 중앙 수구 신문의 대명사인 조중동 못지 않은 지역 수구 신문사로 대구 매일신문이 있다. 그런데 대구 매일신문의 실제 주인이 카톨릭 대구 교구 것이라는 것을 오늘 처음 알았다. 대구 카톨릭은 그렇게 보수적이었나 보다.
    08:58|
    Retweeted byPudalkin
  • profile
    @luckypd 날짜 세는 게 꼭 사우나에서 시간재는 거나 군대서 제대 기다리는 느낌이네요.ㅎ
    22:56|
  • profile
    “코리아 디스카운트의 가장 큰 원인은 북한이 아니라 한국의 후진적인 기업지배구조라는 게 <왜 주식인가>(팍스넷)의 결론이다.(경향)” #최재천큐비즘_
    23:00|
    Retweeted byPudalkin
  • profile
    RT @namhoon: 한나라당이 무상급식 무산, 결식아동 예산 전액삭감, 영유아 예방접종을 삭감하는 이유는 분명하다. 서민들의 삶이 고통스러울수록 예민한 정치/사회적 문제에는 시선을 돌릴 수 없게 된다...
    23:01|
    Retweeted byPudalkin
  • profile
    헌법 구성을 보니 국민-국회-정부 순이더군요. 1조에서 대한민국의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고 했고, 그 다음에 국회, 정부 안의 대통령은 66조. 다 이유가 있습니다. 국회를 밟는 건 국민을 밟는 것과 똑같습니다.
    23:02|
    Retweeted byPudalkin
  • profile
    일본은 침략전쟁 죄 뭉게며 정치후진화 하고, 한국 친일=친미파는 좌파,빨갱이 공격으로 권력 갖고, 미국은 동북아 꽃놀이패 즐기고. 김정일은 살아 보겠다고 핵 도발 해쌌고. MB는 애국심 없는거 같고. 전쟁나면 미군비행기 탈 사람은 북폭하자 하고...
    23:07|
    Retweeted byPudalkin
  • profile
    @adsum74 보통 우리집은 정직한 경향한겨레 구독 중, 조선중앙동아같은 거짓말 언론 볼 생각없다고 쓰인 스티커를 대문에 붙여두면 부적처럼 효과가 있던데요.
    23:15|
  • profile
    @Pudalkin 좋은 방법 추천 감사^^ 근데 "정직한 한겨레경향" 프레임은 좀;;ㅎ 애독자입니다만, 그들도 자본 앞에 전적으로 정직하다고 보긴 어렵기에 ㅎ 여튼 다음번 조선 배달지국의 무리수에는 참고해서 대처해야겠습니다^^
    23:23|
  • profile
    @adsum74 Comming out against the Korean EVil paper at your town ain't that bad for your mental health! kkk
    23:28|
  • profile
    RT @byung_soo: !!! RT @laneige_: 4대강 저지와 조중동 종편진출저지 사랑의 김장나눔 12월12일(일) 조계사에서! 봉하와 팔당 재료로 김치담아서 이웃과 나눠요 ^^ 내일만나요~^^ 알티부... http://dw.am/LHDTA
    23:34|
    Retweeted byPudalkin
  • profile
    네잎클로버는 이 세상에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세잎클로버는 이 세상에 존재합니다. 세잎클로버는 분명 사막에서 왔을 것입니다. 저 절해고막의 선인장처럼 해뜨면 꽃피고 해지면 사라지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새날이 밝으면 노오란 꽃을 피웁니다. 다시
    23:54|

'pudal > 언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0년 12월13일 Twitter 이야기  (0) 2010.12.13
2010년 12월12일 Twitter 이야기  (0) 2010.12.12
2010년 12월10일 Twitter 이야기  (0) 2010.12.10
2010년 12월8일 Twitter 이야기  (0) 2010.12.08
2010년 12월5일 요즘 이야기  (0) 2010.1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