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계의 조중동 구하기’ 배후는 조중동 | |
편집국 간부들 경제5단체 접촉해 “포털에 불매차단 공문 보내달라” |
전경련 등 경제5단체가 네티즌들의 조선·중앙·동아일보에 대한 광고 불매운동을 막아달라며 인터넷 포털에 요청한 것이 조중동의 요구에 따른 것으로 드러났다. 경제5단체가 미국산 쇠고기 수입 반대에서 비롯된 촛불시위와 조중동 광고 불매운동 등 민감한 정치사회 현안에 직접 개입한 것은 이례적이다.
재계 고위 임원은 19일 “경제5단체가 18일 조중동 광고불매운동을 막아달라고 요청하는 공문을 포털들에게 보낸 것은 조중동의 강한 요청에 따른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조중동이 현직 편집국 간부들을 동원해 경제단체들의 핵심임원들과 직접 접촉한 것으로 안다”고 덧붙였다. 실제 경제5단체 중 한 기관은 “조선에서 최근 상근부회장을 직접 찾아왔었고, 전경련이 이번주 초 공문을 보내 참여를 요청했다”고 확인했다. 한 간부는 “조중동이 그동안 재계 입장을 강력히 대변해온 자신들이 어려움에 처했는데 재계가 모른 척 할 수 있느냐고 말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김유진 민언련 사무처장은 “조중동이 자신들의 요구에 의해 이뤄진 경제5단체의 행동을 19일치 신문에 크게 보도한 것은 전형적인 핑퐁식 여론 왜곡이자 독자 기만”이라고 비판했다.
경제5단체의 공동행동은 전경련이 주도했는데, 그동안 관행적으로 해왔던 주요 회원 그룹들과 사전조율도 거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4대 그룹의 한 고위임원은 “전에는 회장비서실이나 홍보 쪽을 통해 미리 의견을 청취했는데 이번에 는 전혀 없었다”고 말했다. 전경련의 이승철 전무는 이에 대해 “NCND(시인도 부인도 않는 태도) 외에 할말이 없다”고 입을 닫았다.
경제5단체는 이에 앞서 지난 18일 네이버와 다음, 네이트 등 포털들에게 공문을 보내 “광고는 마케팅의 일환으로 기업의 핵심 활동”이라며 “일부 네티즌들이 인터넷을 통해 특정신문에 광고를 못하도록 기업에 압력을 가하는 것은 시장경제 활동을 저해한다”고 주장했다.
경제5단체는 그동안 파업 등 경제문제에 대해서는 일일이 입장을 밝혔으나 정치사회적 현안에는 거리를 둬왔다. 4대 그룹의 한 고위임원은 “조중동 광고불매운동으로 마케팅활동에 일부 차질이 있는 것은 맞지만, 재계가 경제와 직접 관련이 없는 정치사회적 현안에 개입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곽정수 대기업전문기자, 임주환 기자 jskwak@hani.co.kr
'미디어뉴스 > 미디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김지윤 “내가 가짜 대학생이라고? 명예훼손으로 고소하겠다”> (0) | 2008.06.20 |
---|---|
펌]‘촛불집회 생중계’ 괘씸죄 논란-한겨례 (0) | 2008.06.20 |
[스크랩] <'한겨레 음해' 안기부 문건 보도 월간조선 배상 책임> (0) | 2008.06.20 |
[스크랩] <[알림] 성원에 깊이 감사드립니다> (0) | 2008.06.20 |
펌] [아침햇발] 언론인 정연주가 할일 / 김종철-한겨례 (0) | 2008.0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