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dal/언론

2010년 12월21일 Twitter 이야기

pudalz 2010. 12. 21. 23:59
  • profile
    ‘30분안 배달’에 쓰러진 피자배달원 http://durl.me/4auut 얼릉 회복이 되었으면...
    02:05|
    Retweeted byPudalkin
  • profile
    허위사실로 노무현전대통령의 명예를 훼손한 조현오경찰청장을 즉각 구속수사 하라...노무현재단 검찰청앞 릴레이 1인 시위 21일 11시~ 2시 윤승용 전청와대 홍보수석
    10:35|
    Retweeted byPudalkin
  • profile
    황당한 이야기지만 선의와 좋은 목표를 가지고 있으면 몸에 병이 침범하지 않는다는 미신을 가지고 있다. MB정부하에서 몸살 술병을 제외하고 아픈 적이 없는데 속이 더부룩하고 술병난 것처럼 전신이 쑤신다. 미신이 깨지는 것일까? 몸에 무리가 온 걸까?氣滯
    10:44|
  • profile
    허리 관절 위장 모두 안 좋다 MB정부 들어 조중동을 법적으로 심판하려고 사회에 적극적으로 참여를 한 이후론 감기도 비껴갔다. 무엇인가에 연결된 느낌, 찰깍하고 사회의 네트웍에 끼인 느낌을 받았다. 서로 연결되어 있을 때 일부가 될 때 건강하다.
    10:57|
  • profile
    4) 서울시는 송파구 문정동의 가든파이브(유통단지) 건립에 모두 1조3000억원을 빌려 투자했다. 그러나 지난 7월 현재 분양대금으로 걷힌 돈은 모두 6000억원에 불과하다. 가든파이브로 인한 금융비용만 연간 1200억원 규모이다.
    10:58|
    Retweeted byPudalkin
  • profile
    3) 2010년 현재 서울시 산하 SH공사의 채무 규모는 무려 16조원. 부채비율은 505%이다. 지난 4년 동안 이자만 1조6000억원을 지불했다. 올해 이자 지급액만 5000억원을 넘길 전망(6월까지 2763억원)이다.
    10:59|
    Retweeted byPudalkin
  • profile
    2) 지난 10월 서울시 의회가 재정·복지 전문가들과 함께 낸 보고서에 따르면, 오 시장 취임 이후 늘어난 서울시 부채는 무려 10조원에 이른다(복식부기 기준). 2006년 13조6000억원에서 2009년 말 25조원으로 증가했다.
    11:01|
    Retweeted byPudalkin
  • profile
    오늘 12시 민주광장 추적60분 방송쟁취와 부당징계 철회집회. KBS 사상최대의 치욕이 될 결방사태를 저지하고 부당하게 탄압받는 우리의 동료들을 지켜냅시다!
    11:03|
    Retweeted byPudalkin
  • profile
    오세훈이 왜 거짓말쟁이인지, 시사IN이 증명했습니다. 이 기사를 보시면 무상급식 때문에 서울이 망한다는 말이 왜 거짓말인 지 잘 아실 겁니다. http://bit.ly/gQGYdd (RT 부탁요~)
    11:04|
    Retweeted byPudalkin
  • profile
    시사IN ::: 보도블록 덜 깔면 초·중생 점심 걱정 끝 http://t.co/RoLJ8jq
    11:14|
  • profile
    @lirapter 전업연기자가 되는 건 정말 위험부담이 크지요 저는 정말 시대운 작품운 등이 절묘하게 맞은 경우일뿐, '권유'하지 못합니다
    16:38|
    Retweeted byPudalkin
  • profile
    유쾌한 서울 민란 <국민의 명령> 거리 나가기 66일째, 12/21(화) 노원역 2번출구 오후4시에 나갑니다. '민란'으로 지역구도 넘어 전국에서 지지받는 민주적 야권단일정당 만들어 2012년에 바꿉시다!
    16:39|
    Retweeted byPudalkin

'pudal > 언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0년 12월23일 Twitter 이야기  (0) 2010.12.23
2010년 12월22일 Twitter 이야기  (0) 2010.12.22
2010년 12월20일 요즘 이야기  (0) 2010.12.20
2010년 12월20일 Twitter 이야기  (0) 2010.12.20
2010년 12월18일 Twitter 이야기  (0) 2010.12.18